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우리 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해
에너지
를 절약할 수도 있고, 작물 데이터를 분석해 농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 그동안 축적된 건강검진 데이터로 개인에 따라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예방할 수도 있다. 오늘날보다 안전하고,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발견했다. 활동성 은하핵 현상은 은하 중심부로 주변 물질들이 유입되면서 강한
에너지
를 내뿜는 현상으로,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다. 김민진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은 “은하는 진화과정에서 내부에 있는 블랙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 큰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Ιa형을 이용해 우주가속팽창을 발견했다(44쪽 박스 참조). 가속팽창의 동력원은 암흑
에너지
라는 가설도 이때 생겼다.2011년 노벨상을 받긴 했지만, 천문학계에선 우주가속팽창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Ιa형 초신성을 이용한 우주가속팽창 계산이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저속 충격은 뼈를 관통할 만큼 큰
에너지
를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뼈에 출구를 남기지 않는다. 만약 타격 지점 반대쪽에도 손상이 발견된다면 이는 1차 타격 이후에 피해자가 바닥이나 벽에 부딪치면서 발생한 또 다른 충격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속에 공생 미생물을 갖고 있어서 초록색 잎에 있는 단단한 셀룰로오스 조직을 분해시켜
에너지
원으로 사용한다. 타닌 같은, 잎 속에 든 독성 물질도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열대 우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다.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결국 하나로 합쳐졌어요. 이때 방출된
에너지
는 3개의 태양이 동시에 폭발해 모든 질량이
에너지
로 변한 것과 같은 엄청난 양이었어요. 이 순간 가장 강한 중력파가 퍼져나갔답니다.솔직히 말하면 나는 영원히 중력파의 실체를 확인하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어. 그런데 심지어 13억 광년이나 떨어져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보람을 느끼는지 물었다. 그는 “우리가 만든 걸 보고 사람들이 기뻐하고, 즐거워할 때
에너지
가 솟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그와 라온스퀘어가 만들 즐거운 세상은 어떤 곳일지 기대가 된다 ...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밝혔다.자기 재결합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
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이론적으로만 알려져 있던 자기 재결합을 실제 관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4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MMS는 피라미드 대형으로 지구 궤도를 돌며 25개의 센서로 우주의 입자들을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뤄진 유기물인 요소다. 농사를 지을 때 대소변을 비료로 쓰는 데에서 알 수 있듯
에너지
도 풍부하다. 전기를 만드는 연료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게다가 공짜이고, 무엇보다 양이 어마어마하다. 보통 성인이 하루에 배출하는 오줌은 1.5L 이상. 이를 전세계 70억 인구로 계산하면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방법은 X선 결정법이다. X선 결정법은 우선 단백질을 차곡차곡 쌓아 결정을 만든 뒤 고
에너지
X선을 쏜다. X선은 결정과 충돌하면서 흩어지고 우리는 이 흔적을 측정할 수 있다. 단백질 결정 뒤쪽의 평면에 산란된 모양을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3차원으로 바꿔 구조를 알아낸다.지카바이러스에도 X선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