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를 통해 행성의 궤도를 알 수 있습니다. 행성이 별의 가운데를 지나면 그래프에서 빛이 점차 감소하고 증가하는 구간이 짧게 나타납니다. 반면 행성이 별의 위나 아랫부분을 지나가면 별빛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구간이 길게 나타나죠. 행성이 별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더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붙어있는 그래프를 말해요. 이 그래프의 특징 중 하나는 중심에 있는 점이 다른 모든 점과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마치 학급에 하나씩 있는 인싸 친구 같죠? 그래프로 나타내는 우리 관계이렇게 그래프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유용해요.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과 알프레드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색에 대해 순간적이고 주관적인 느낌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상주의’에서 기본 색과 점, 선, 면만으로 우주의 진리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뤄진 작품을 내놓습니다. 몬드리안 하면 떠오르는 크고 작은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만들면 퍼즐을 풀 수 있겠죠? 정육면체를 완성했을 때 모든 면이 채색면이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고 이중 어떤 전개도를 만들어야 할지 생각해보세요! 업그레이드된 전개도 퍼즐, 폴드 어 큐브전개도 퍼즐에 영감을 받은 네덜란드의 퍼즐 디자이너 샤크 흐리피운은 2월호에 소개했던 네덜란드의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게 HIV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래서 HIV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남에게 전파할 수 있다는 점이 HIV 입장에서는 생존 전략이지만, 인간에게는 에이즈 박멸의 큰 걸림돌이다.HIV는 RNA 바이러스의 한 유형인 레트로바이러스이다. 레트로바이러스는 RNA를 숙주의 DNA에 끼워 넣기 위한 역전사효소를 가지고 있어,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는 더 큰 장점이 있다. 이를 이용해 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한 뒤, 그에 맞춰 배양 시스템을 구축해 바이러스의 특성을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가령 국내 유전체 분석 기업인 테라젠이텍스는 NGS 기반의 신종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VZV의 활성화 여부로 우주인의 면역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NASA는 우주인이 탐사선이나 국제우주정거장(ISS), 달, 화성 등에서 귀환할 때 바이러스를 비롯한 미지의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점이 있는데, 유전체를 잘라낼 때 앞뒤로 숙주세포의 유전자가 딸려 나오기도 한다는 점이다. 사람의 유전자를 일부 품은 바이러스가 증식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면, 이 유전체가 다시 다른 사람의 세포에 삽입될 수 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수평적 유전자 이동(lateral gene transfer)이 바이러스를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75년 ‘유럽면역학저널(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에는 쥐에서 관찰한 새로운 세포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당시 연구에 사용한 쥐는 성체 ...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차 떨어져 60세에는 절반으로, 80세에는 3분의 1 수준이 된다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당시 자료에 따르면 델브뤼크는 “과학이 어떤 방법보다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일찍 깨달았다”며 “노벨상을 받았을 때 기뻤지만 영광에 압도당하지 않았으며, 루리아와 허시의 가족과 스웨덴 여행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만족했다”고 수상 당시를 회상했다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