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d라이브러리
"
지속
"(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삶에 과학기술이 얼마나 기여했는가로 평가돼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꾸리찌바’는
지속
가능한 개발, 또 이를 위한 과학기술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연과 호흡하는 핀드혼 사람들환경공동체를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가비오따쓰처럼 기존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변하는 소리의 크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음성 파형이다. 이 파형은 자음과 모음의
지속
시간이나 성대의 여닫음을 주기적으로 나타내주지만, 많은 정보가 한꺼번에 뒤섞여 있다. 성문분석을 통해서 이런 각각의 성분들을 하나씩 분리해 나타내야 한다. 최근까지 많이 사용돼온 성문분석의 핵심은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발생하면 스스로 사멸한다. 그러나 암세포는 주변세포에 아랑곳없이 세포분열과 성장을
지속
시켜 전체적인 균형을 파괴한다.암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세포사멸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세포가 바로 암세포인 것이다. 따라서 세포사멸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은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조작된 데이터와 표절이 난무한 ‘가짜’ 연구논문들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에 게재돼 과학 학술지의 권위에 금이 가고 있다. 과연 과학 학술지의 권위는 어떻게 만들 ... 하루 차이로 발표되기도 했다. 앞으로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선의의 경쟁이 언제까지
지속
되는지는 지켜볼 일이다 ... ...
세계사를 바꾼 날씨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파괴·지구 온난화 등 이상 기후현상, ‘지구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지속
시키기 위한 노력 등 대기과학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는 것이 장점이다.‘엘니뇨와 라니냐’는 제목 그대로 기상이변의 원인으로 자주 거론되는 엘니뇨와 라니냐를 집중적으로 다룬 책이다. 원래 ... ...
1. 21세기 그린변혁 꿈꾸는 개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맞고 있는 21세기는 결코 과거로부터의 단순한 연장선상에 있지 않다. 자연과 공존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뤄 내는 일이 우리에게 주어진 새로운 숙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폐기물 재활용기술은 완벽한 자원의 순환이용이 실현되는 새로운 사회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산업폐기물 ... ...
2. 미완성으로 막 내린 세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욕구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리세대의 필요는 충족시키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통해 계속해서 우리가 지구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사실이다.정상회담 중 미래세대의 대표주자로 발언할 기회를 가진 11세 캐나다 소년 저스틴 ... ...
왜 통계물리학자가 단백질 연구에 매달릴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전통적으로 생명과학자의 연구 대상인 단백질이 통계물리학자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생명현상의 수수께끼인 단백질의 3차원 구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다. 그 ... 발전을 위해서 단백질 접힘 연구팀에 대한 지원은 물론, 이분야의 우수한 젊은 과학자의
지속
적인 육성이 시급한 때다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식물자원 유출의 실상을 알면 몹시 자존심이 상할 수밖에 없다. 야생화 개발 연구에
지속
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빨리 싹트고 잘 자라게비록 늦었지만 우리의 소중한 식물자원을 우리의 손으로 개발해 세계로 진출하는 일이 시작되고 있다. 과학기술부 ... ...
서해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타이타닉호의 비극을 잊지 않은 해양과학자들은 수중 작업기술과 해양장비의 개발에
지속
적으로 심혈을 기울였다.1985년, 드디어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의 로버트 발라드가 이끄는 미국과 프랑스 연구팀이 타이타닉호의 잔해를 최초로 발견했다. 이어 1996년 8월에는 수중 6천m까지 들어가 작업할 수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