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개발 조직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BIDEC(Bioindustry Development Center)를 꼽을 수 있다. 한편 일본
해양
생물공학연구소는 24개의 주요 개인회사가 주축이 돼 1988년 12월에 설립됐고 생물공학을 이용한
해양
자원의 개발을 주임무로 하고 있다.이처럼 선진각국은 과학기술처를 비롯한 모든 정부부처와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은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류(cellulose와 hemicellulose) 리그닌류(lignin) 전분류 그리고
해양
생물인 새우와 게의 외피에 있는 키틴류(chitin) 등이다. 이들 대부분이 탄수화물 고분자다.그래서 탄수화물공학 연구가 선진기술국에서는 국가정책연구로 채택돼 진행되고 있다. 결국 이 천연자원들은 효소의 ... ...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문제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획기적인 새로운 에너지기술일 뿐만아니라 우주항공 자동차
해양
분야에의 응용도 가능한 혁신적인 기술이다.연료전지의 기본원리는 물을 전기분해(電氣分解)하면 수소와 산소가 발생된다는 잘 알려진 현상을 역으로 이용한 것에 불과하다. 두 개의 전극에 수소와 산소를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지구의 바다 밑에서 찾아볼 수 있는 도랑과 비슷하다.UCLA의 제럴드 슈베르트와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의 데이비드 샌드웰도 마젤란우주선이 보내온 사진들을 분석했다. 그들은 금성의 도랑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지구에선 용암이 바다밑으로부터 솟아나와 굳어지면서 수평으로 움직여 다른 지판 ... ...
플라스틱 재활용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부분이 열경화성 수지는 원료를 사용할 때보다 재활용하면 92~98%의 에너지가 절약된다. 그래서 재생 플라스틱은 원재료를 사용한 제품보다 가격이 33~55%나 저렴해진다.1967년 로렌스 터먼 프로덕션이 제작한 더스틴 호프만 주연의 영화 '졸업'에는 초반에 이런 장면이 나온다. 1류 대학을 장학생으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2억년 전부터 시작된 대륙의 분열은 백악기가 끝날 무렵에는 거의 오늘날과 같은 대륙과
해양
의 골격이 이루어 졌다.판지아를 석권하던 공룡들도 대륙의 분열로 인해 서로 떨어져 살게 됐다. 북반구에서는 지리적 변화와 함께 식물계도 백악기 말에 꽃피는 식물을 비롯해서 온대성 속씨식물들이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외에 기획전시실(각종 특별기획전이나 회의에 활용), 서점(아이들을 위한 그림책에서
해양
과학 및 수산학 전문서적, 정기간행물과 교육기자재 판매), 기념품 상점(아이들의 놀이기구에서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생활용품 판매), 해산물 전문음식점과 실내 해수 수영장이 있다.노지카를 방문한 후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이다.그러한 사건은 마치 1983~85년간의 엘 니뇨(El Nino)해류가 그랬던 것처럼
해양
화학과
해양
생물 및 세계 기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북대서양의 심해저 시추 코어의 기록을 읽으면 갱신세(Pleistocene)에 약 9℃의 오르내림이 있었는데, 이는 육상의 기온상승의 자료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이 설은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사람이 이 정도라면 동식물에게는 더욱 치명적인 것은 자명하다.
해양
생태계의 1차생성자인 식물성 플랑크톤은 핵산과 색소가 파괴돼 생성이 크게 줄어든다. 식물계는 전반적으로 성장이 둔화되며 농산물 또한 생산량이 줄어든다. 과학자들은 2백가지 주요한 작물 중에서 75%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사람이 둘이고, 한국동력자원연구소에 3사람이 근무하고 있다. 지학분야에서는 기상
해양
환경 쪽으로 젊은 여성 인력이 다수 몰리고 있는 추세다. 90년 말 현재 지구지질 분야를 대학 학부과정에서 전공하고 있는 여학생의 수는 1천2백8명. 물리학 계열의 여학생 총수 3천3백90명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