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는데, 그래서 땅 표면에서 통상보다 더 많은 양이 나타난다는 것은 운석이 충돌한
흔적
이라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혜성에는 어떤 이리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새로운 소비에트의 발견은 퉁구스카 사건이 혜성이 아니라 운석에 의한 것이었다는 것을 시사하는것 같다. 그렇다면 패인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어떤 흐린
흔적
이 있는 것을 누군가 지적하여 자세히 분석해 본 결과, 나무를 벌목한
흔적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제미니(Gemini) 우주선의 우주 비행사들이 찍은 컬러 지상사진들에서 지상의 새로운 도로 건설의 진전과 도시구조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사진에서는 그 전날 비가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한국인의 연단술을 이용해 불로장생을 이루려던 노력의
흔적
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이조시대의 의학서중에도 그다지 뚜렷하게 남아있지 않다. 그 까닭은 한국 사상은 고대로부터 한국의 특산물인 인삼과 녹용을 가장 좋은 강장제로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해저 3천6백m에서 인간의 뼈는 75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칼슘이 분해되기 때문에
흔적
이 남아 있기 어렵다고 생각했읍니다." -수심 3천6백m에서 물건들을 끌어 올리는데는 대단한 노력이 들었겠는데요. "그럼요. 물건들을 파손되지 않게 조심 조심 모으고 그것을 또 손상되지 않게 해상의 모선으로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그 깎아 벤것같은 험난한 능선, 그리고 몇 줄기의 계곡도 모두 빙하가 끌을 휘두른
흔적
이다. 또 빙하는 깎아 떼어낸 바위를 운반하여 여기저기에 퇴적했다. 오늘날 '단정'(丹井)이나 '약구'(藥臼)라고 부르는 명물 기암도 대개 이 빙하가 운반하 퇴석인 것이다.이렇게 빙하가 깎아 낸 황산에 ... ...
가장 중요한 화석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중요한 차이가 없었다면 그랬을지 모른다. 이 '도마뱀"은 깃털을 가졌던 것이다. 깃털의
흔적
은 지금도 의심할 여지없이 생생히 남아있다. 깃털은 꼬리끝까지 두 줄로 나 있으며 또 앞발(날개)에도 나 있다.오늘의 세계에서 알려진 모든 새는 깃털을 갖고 있으며, 또 새가 아닌 모든 생물에게는 그것이 ... ...
지구과학 박물관과 과학관을 최대한 활용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어떤 중학교는 그렇게 좋은 시설을 갖춘 교실은 아니었지만 해마다 수집하고 개발한
흔적
이 역력한 많은 자료들을 교실 벽면 가득히 어지러울 만큼 많이 진열(?)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지구과학시간이면 지구과학교실에서 여러가지 자료를 쳐다보면서 수업진도와 관계 없이 많은 것을 ... ...
바다가 화석이 되었나 안데스의 소금대평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전초지대라 할수있는 2천5백m 전호의 산들에 둘러싸인 이 일대는 5천만년 전의 염호
흔적
이다. 긴 시간에 걸쳐서 소금과 토사가 퇴적된 호수가 지각변동으로 솟아올라 산이 되었고 그것을 지하수가 침식하여 무수한 계곡을 형성한것이다. 무심코 한발을 내딛었다가는 나갈길을 찾지 못하고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달에는 자기장이 없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는데, 오래 된 월석의 샘풀에서는 자기장의
흔적
을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용암으로부터 암석이 형성되던 당시에는 자기장이 있었을 것으로 믿고 있다.우주인들이 달표면에 설치한 4개의 지진계는 네트워크를 이뤄 달에서 일어나는 지질현상을 정확히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제주도탐사는 의미가 컸읍니다만, 아쉽게도 주로 식물생태계 위주로 진행돼 화산활동의
흔적
등 지구 과학적 측면에서의 탐사시간이 부족했읍니다.강미 저 역시 지구과학이 전공이어서 김선생님과 같은 심정입니다. 하지만 과학교사의 입장에서 많은 식물들을 알게 된 것은 적지 않은 소득이라고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