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진행"(으)로 총 2,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수업, 바로 동아리!!기사 l20180604
- 동아리 활동을 하며 우정을 많이 쌓을 수 있다. 한 동아리를 하면 네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동아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 아이들이 생각하는 힘과 자신감, 협동심, 우정을 기를 수 있으면 좋겠다. 동아리는 '선생님만이 수업할 수 있다.' 라는 고정관념을 깬 것이다 ... ...
- 민물고기 탐사탐사기록 l20180602
- 탐사설명중예요!우리나라 고유종~ 쉬리를 보고있습니다이곳은 탐사가 진행된곳예요~ ...
- 제9회 바이오 블리츠에 다녀와서.기사 l20180530
- 식물, 버섯, 곤충탐사였습니다. 그리고 새벽조류탐사도 참여하였습니다. 개회식때에는 24시간 카운트다운을 하고 walk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는데요. walk프로그램이 끝나고 talk프로그램도 하였답니다. 제가 가장 인상깊었던 탐사는 바로 곤충탐사 였는데요. 곤충을 제가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또, 그 곤충을 잡고 이름이 뭔지 선생님께 여쭈어보는 재 ...
- 자동차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현대 모터 스튜디오 고양을 다녀왔어요.기사 l20180525
- 곳입니다. 이곳에는 자동차 안전에 관한 영상도 있고 안전 실험을 했었던 자동차도 있습니다. ↑ 위 사진은 자동차 안전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을 상영하는 공간입니다. ↑위 사진은 안전을 지켜주는 에어백을 전시한 공간입니다. 로비층은 자동차들과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곳 입니다. 로비층 전시장에는 여러 가지 자동차들이 있고 시승도 가능한 곳입니 ...
-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안내 말씀 드립니다.공지사항 l20180524
- 수집하는 활동입니다. 무료로 운영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지요. 이런 점에서 탐사대원과 운영본부 모두 더욱 보람을 느끼면서 탐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파주 현장교육 보도를 보면서, 다시 한번 운영방법에 대해 깊이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지사탐 운영본부와 연구진은 생물종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일이기에 운영과 관리에도 많은 노 ...
- 철갑상어는 상어가 아니다! - 서천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기사 l20180514
- 속하고, 물범은 물범과에 속하지요. 물범은 다리가 짧고 발톱이 보이지만 물개와 바다사자는 그렇지 않아요. 아쿠아리움에서 진행하는 동물 쇼에서 많이 보이는 동물은 물개랍니다. 다섯 번째, 펭귄이에요. 펭귄은 추운 곳에서 사는 만큼 지방층이 발달해 뚱뚱하게 보인답니다. 펭귄 중 자카스펭귄은 털갈이를 하지 않는다고 해요. 펭귄은 배에 난 점의 크기, ...
-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을 다녀왔습니다!기사 l20180513
- 기자가 된 것이 너무 자랑스러웠습니다. 시드 볼트안은 두꺼운 점퍼를 입었는데도 추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수목원 원장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환경의 중요성과 식물과 동물의 멸종이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환경보호를 위해서 우리가 할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 항상 생각하고 실천해야 할 것입니다. 어린이 과학동안 기자단 여름 ...
- 진짜 광속구를 던진다면기사 l20180508
- 실질적으로 광속구를 던질 수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만 접어두면 아주 많은 일이 일어납니다. 그것도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서 투수와 타자에게 결코 좋은 일은 아닐 겁니다. 우선 공이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가기 때문에 사실상 다른 것들은 모두 정지 상태일 것입니다. 심지어 공기중의 분자까지도요. 그러니까 여기서는 기체 역학은 적용 ...
- 지구사랑탐사대익산현장교육탐사기록 l20180507
- 꿈꾸는지구 신혜맘님 중국어통역 빛났습니다. ㅎㅎ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를 만드신 섭섭박사 김원섭 소장님의 현장교육 진행으로 지사탐 익산 현장교육이 더욱빛났습니다. 수원청개구리 현장교육 전국의 여러지역에서 멋지고 재미있게 펼쳐져서 지구를 사랑하고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연구의 도움이이되는 우리 지구사랑 탐사대가 되었으면 합니다.fot ever ...
- 이젠 나도 농부!-이앙법기사 l20180505
- 보리를 수확하기 한 달 정도 전에 볍씨를 뿌려야 했기 때문입니다. 옛날에는 전부 수작업으로 했겠지만 저는 그나마 기계로 진행했기 때문에 수고를 덜 수 있었습니다. (기계로 했는데도 힘듬..)완성된 모판의 모습입니다. 옛날에는 어떻게 그렇게 많은 모판에 이런 과정을 수작업으로 했는지 모르겠네요^^; 이상 마치겠습니다.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