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뉴스
"
아시아
"(으)로 총 2,4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26
파도가 끊임없이 밀려오는데다 뿌리는 항상 바닷물에 잠겨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남
아시아
와 호주, 아프리카 등지의 열대 해안에는 바닷물에 잠긴 채 살아가는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있다. 이 나무들을 ‘맹그로브’라 부른다. 맹그로브는 파도를 맞아도 쓰러지지 않도록 여러 개로 갈라진 ... ...
[여기에 과학]대형 고양이과 포유류에 미래는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2
현재 6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총 3890마리가 남아 있다고 밝혔는데요. 그중 99%(3846마리)가
아시아
지역에서 생활합니다. 인도(2226마리), 러시아(433마리), 인도네시아(371마리) 등 세 나라에 대부분의 개체가 생활하고 있습니다. 발표 후 10개월이 지난 2017년 12월 미국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 매튜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의약 지식이 살아서 현대에도 작동한다는 것을 극적으로 보여준 최근의 사례다. 또한 동
아시아
의 전통 의약 경험이 세계 의약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성과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약물 성분을 추출하는 방식까지도 전통 지식이 현대 신약 개발에 중요한 ...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 지난해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아시아
인 중에는 일본인인 가네히사 미노루 일본 교토대 교수가 유일하게 이번 클래리베이트 선정 노벨상 유력 후보에 꼽혔다. 가네히사 교수는 유전정보 DB인 ‘교토 유전자 및 게놈 백과사전(KEGG)’을 개발해 생물정보학을 ... ...
미국 혈통 붉은불개미 동북아로 확산 중…한국계 잡종도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분자생태학’에 소개했다. 남아메리카를 원산지로하는 붉은 불개미가 호주와 남
아시아
등지로 전파됐다.-University of Illinois제공 하지만 본격적인 교류가 이뤄진 근대부터 무역을 주도한 미국계 혈통의 붉은불개미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흥식 농림축산식품부 ... ...
하이옌 이후 5년만에 또 슈퍼태풍 덮친 필리핀...지구온난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기상위성 히마와리8호가 16일 촬영한 망쿳 모습. NOAA 제공 남
아시아
의 필리핀을 강타한 제 22호 슈퍼 태풍 망쿳의 순간 최대속력은 기상관측이래 가장 강했던 하이옌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되는 슈퍼태풍의 출현하는 이유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필리핀스타 등 현지 ... ...
[여기에 과학]美허리케인 세기등급, 한국과 어떻게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말에서 나왔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솔릭이나 망쿳과 같은 이름은
아시아
태풍위원회가
아시아
지역 14개 국가의 고유한 이름을 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열대성 저기압은 지구에너지 순환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입니다. 극지에는 태양에너지가 적고 적도에는 많은 데, 지구가 그 ... ...
"사람 냄새나고 소외없는 포용적 디지털 시대로의 도약"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파트너로서의 잠재성을 인정받고 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개회식에서 “
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사람중심’의 비전을 공유하고 새로운 디지털 경제 시대의 동반자로서 협력의 기반을 구축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장관들은 ‘디지털 변혁의 미래’와 ‘디지털 시대의 ... ...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2018.09.11
2003년 홍콩에서 발생한 사스는 박쥐가 인류에 가장 치명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례입니다.
아시아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하며 전 세계적으로 총 8400여 명을 감염시키고 10%에 달하는 사망자를 만들었습니다. 1960년대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 단백질이 돌출돼 있는 모습이 왕관(corona)처럼 보여 ... ...
한국인 표준뇌지도로 치매 조기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치매연구단 교수는 “치매 조기진단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국 등 동
아시아
인에 최적화된 치매 예측기술이라는 점에서 향후 주변 국가들과의 협력 및 기술수출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