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8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업 유치 노력·풍부한 인재풀·親연구환경이 바이오강국 싱가포르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손을 잡고 유전체 서열 분석 센터를 마련했다. 미국의 가정용품 제조업체 피앤지(P&G)와
인체
의 피부에 사는 곰팡이균의 유전체를 연구하는 등 연구 결과가 실험실에만 머물지 않고 실제 산업에 쓰일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에도 힘을 쏟는다. 알렉산더 레즈하바 싱가포르 과학기술청 ... ...
소재 강국 되려면 연구 데이터베이스부터 충실히 쌓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안전 문제도 있다. 불화수소는 산이다. 누출되면
인체
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 된다.
인체
대부분이 수분이라 불화수소에 누출되면 바로 뼈로 향한다. 불화수소는 입자가 너무 작아 전달력이 빠르다. 그러다 보니 설비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만들어야 한다. 단가가 더 높아지는 것이다. ... ...
벌레 이용해 만성 장 질환 치료 후보물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1
사람과 비슷한 소화기관과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며 “장내 미생물과
인체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기초연구는 물론, 장 질환 개선용 식의약품을 개발하는 산업 원천기술로도 중요하게 쓰일 것”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농식품 분야 국제학술지 ‘농업식품화학회지’ 7월호에 발표됐다.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설명했다. 혀끝이 가장 먼저 인지, 입술에 가장 오래 남아 마라탕을 먹었을 때
인체
에서 가장 먼저 마라의 매운맛을 느끼는 부위는 어디일까. 또 어느 부위에 가장 오랫동안 얼얼함이 남게 될까. 중국국립표준화연구원(CNIS) 농업표준화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케미컬 센시스’ 2017년 7월 ... ...
암 중심부까지 약물 보내는 '트로이 목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기반 약물전달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웠던 부위까지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체
의 다양한 질환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병에도 적용할수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현재 기술로 약물전달이 어려운 난치성 질환 치료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2일 ... ...
여름 불청객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은 '시한폭탄' 독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이번 성과를 여러 병원균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라며 “독성 유발 인자와
인체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9일자에 발표됐다.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연구팀은 240개의 센서가 각기 다른 신경신호를 만들고 전달하도록 회로를 구성했다.
인체
의 감각수용체와 감각신경이 연결된 방식이다. 이 신호를 ‘고속도로’ 역할을 하는 주 신경으로 모아 전달하면 센서끼리 얽히고설킨 기존 인공 전자피부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피부를 만들 수 있다. 티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개발했다. 개똥쑥에 흥미를 갖게 된 투 교수는 정제 과정을 거쳐 '아르테미시닌'이라는
인체
에 작용하는 약물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는 효과적인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phys.org 제공 동의보감에는 청호(菁蒿)라는 약초가 등장한다. 개똥쑥(학명: Artemisia annua)이라고도 하는데 아시아 ... ...
美CDC, 치료약 없는 슈퍼버그 칸디다 아우리스 확산 경고…원인은 '기후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칸디다균을 비롯해 대부분의 진균은 습하고 차가운 환경을 좋아해 비교적 고온인
인체
에서는 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체온을 36.5도로 유지하는 이유는 진화면에서 봤을 때 병원균 감염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기 때문인데, 칸디다 아우리스가 고온에 적응하도록 진화하면서 일종의 '면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분자를 인식해 침투한다. 그리고 세포핵의 게놈에 박혀 있다가 가끔 증식을 하며 서서히
인체
의 면역계를 무너뜨린다. 혈액 1마이크로리터에 CD4+ T세포의 수가 200개 밑으로 떨어진 상태를(정상 범위는 500~1500개)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면역력이 뚝 떨어지면 면역력이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