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방랑자의 삼성 갤럭시 노트7 구입&교환‧환불기 上
동아사이언스
l
2016.10.12
답장이 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내일인 13일, 삼성전자는 교환과 환불을 시작한다고
발표
했습니다. 저는 일단 내일 당장 제가 구입했던 디지털 프라자에 가볼 생각입니다. 환불을 할지, 교환을 할지는 오늘 밤새 차차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다녀와서 바로 하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
집 먼지 속 유해물질 이렇게 많다니!
과학동아
l
2016.10.12
유해 화학물질의 종류가 45가지나 된다는 연구 결과를 ‘환경과학및기술’ 9월 14일자에
발표
했다. 이 중에는 암과 불임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다수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미국 14개 주에서 집 먼지를 모아 분석한 26개의 논문을 재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유해 화학물질 4 ... ...
코딩 교육에 대해 학부모가 오해하기 쉬운 3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0.12
사용법을 배우고, 초등학교 4~5학년이 되면 수업 시간에 파워포인트로 자료를 만들어
발표
한다. 오피스 활용 자격증을 따는 어린이들도 많다. 스마트폰은 아마 부모보다 더 잘 쓸 것이다. 그런데 왜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걸까?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활용이 아니라 컴퓨터 ... ...
韓 고교생, 식량문제 해결법 제시해 국제과학대회 3등상
2016.10.12
에서 개최하는 가장 권위 있는 청소년과학대회로 각국 대표들이 모여 자신의 연구성과를
발표
한다. 1등상 수상팀에게는 노벨상 시상식 및 노벨상 수상자 강연회 참가권이 주어진다. 서 양과 홍 군 팀은 상금 3500유로(약 434만 원)를 받았다. 청심국제고 팀은 호염(好鹽)성 박테리아를 이용해 ... ...
페트병 소재 대체할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나왔다
2016.10.11
박오옥 KAIST 교수팀은 식물에서 추출한 퓨란계 플라스틱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 KAIST 제공 음료수병을 만드는 데 쓰이는 플라스틱 ‘페트(PET)’를 대체할 수 ...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10월 7일자에
발표
됐다. ... ...
칭기스칸이 원래 서양인이었다고?
2016.10.11
중앙대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광활했던 제국을 지배했던 몽골의 ‘칭기즈칸’이 뿌리가 서양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내놨다. 연구진은 이번 발굴성과가 그간 베일에 싸여있던 칭기즈칸 가계의 비밀을 풀 단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광호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사진)팀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GS칼텍스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지 ‘엠바이오’에 실은 논문은
발표
된 지 4년이 채 안 된 현재 105회 인용됐을 정도로 획기적인 내용이다. 지난 9월 29일 GS칼텍스는 여수에 세계 최초로 2세대 바이오매스를 쓰는 바이오부탄올 시범공장을 착공했다. 내년 말 완공될 예정인 이 ... ...
고려시대 시조 읽으며 별자리 연구하는 ‘고천문학’ 과학자
2016.10.10
별자리를 현대적으로 분석해 내기도 했다. 지금까지 20편 이상의 논문으로 정리해
발표
했고, 2006년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양 연구원은 어린 시절 고향인 강원 강릉에서 작은 서당을 다니며 한자와 서예를 배웠다. 율곡 이이가 1558년 장원 급제 당시 썼던 답안 ‘천도책 ... ...
바닷새가 물고기 잡으며 다이빙해도 죽지 않는 이유
2016.10.09
민첩한 목 근육에 있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진은 새우가 먹이를 잡을 때 미세 물방울을 활용하는 방식, 개가 물을 마시는 독특한 방식 등 자연의 동물들에게서 나타나는 역학적 원리에 대해 연구해왔다. 연구진은 부비새가 다이빙하는 ... ...
합법적 자료 활용 vs.남의 연구자료 가로챈 ‘기생충’… 누가 옳을까
2016.10.09
데이터 보호를 한층 강화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9월 4일 NJEM을 통해 공동으로 의견을
발표
하고 “국제의학저널편집자위원회(ICMJE)는 현재 출판 후 6개월 이내에는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권고하고 있다”며 “이것도 부족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 기간을 더 늘릴 예정”이라고 ... ...
이전
1638
1639
1640
1641
1642
1643
1644
1645
1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