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살고 있는 자연에요?”“그래, 맞아. 그리고 마침내 영국의 리아스식 해안선을 유심히
관찰
하던 중 프랙탈 개념을 떠올렸지. 해안선의 길이는 측정할 수 없다는 기존의 생각을 바꿔놓는 증명도 해내면서 말이야.”“그래서 마왕이 아저씨를 해안선에 가뒀군요. 그런데, 해안선의 길이를 측정할 수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원래의 울음소리로 돌아간다는 걸 발견했다. 새끼 고양이나 길고양이에서는 이런 변화가
관찰
되지 않았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후천적으로 학습한 행동이라는 얘기다.점차 인간에게 길들여지면서 공격성이 낮은 고양이도 생겼다. 미국에는 삼색 털을 가진 고양이가 유달리 공격적이라는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영국 전역의 양봉업자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일벌의 행동에 혹시라도 유전적 변이가
관찰
되나? 기운 빠지는 답장들만 날아들었다. 일벌들은 모두 다 똑같이 행동하며 변이는 없단다. 설상가상으로 당대의 위대한 곤충학자인 윌리엄 커비와 윌리엄 스펜스는 ‘곤충학 입문’에서 불임성 일꾼 계급이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구조를 X선으로
관찰
했다.김 교수는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다보니 안정적이지 못하고 학회를 가도 같은 주제로 얘기할 사람이 없어 외롭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연구한다는 사실이 즐겁고 자부심도 느낀다”고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검은 막대가 흰 판 위를 쓸고 지나가는 모습(A)을 보여주고, 이때 V2세포의 반응을
관찰
했어요. 세포가 자극에 활발하게 반응할수록 반응검출기 화면에 점이 많이 나타났어요.그 다음에는 흰 판의 중간 부분을 검게 칠했어요. 이제 흰 판 위에 있는 막대의 양 끝만 보이겠지요? 검은 막대의 양 끝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화석도 찾았다.이유민 탐사대원은 “사진으로만 봤던 화석을 직접 찾고, 또 만져보면서
관찰
하니 신기했다”면서 “화석이 우리에게 속삭이는 옛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말했다.소라게와 열대어 떼의 바다를 지키려면?사흗날 아침, 탐사대원들은 아침햇살이 부드럽게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다리의 기다란 뼈에요.성장판 속 연골세포가 키 크게 해정강이뼈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
하면 작은 세포가 잔뜩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뼈마디 끝부분에 있는 성장판이지요. 성장판에 있는 연골세포는 성장기 동안 계속해서 분열하고 점점 많아져요.성장기에는 성장호르몬의 영향으로 ... ...
숲도 관상을 본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나타냈습니다. 먼저 지형과 강수량이 완전히 다른 파나마와 스리랑카의 열대 숲을
관찰
하고 나무의 분포를 조사했습니다.분포를 나타낼 때는 나무를 긴 막대 끝에 공이 달려있는 막대사탕 모양으로 그렸습니다. 중요한 건 ‘기둥을 나타내는 긴 막대의 길이’와 ‘잎이 우거진 부분을 나타내는 공의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생명공학과 연구팀이 결정핵에서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관찰
할 수 있는 수학모형을 만들기도 했어요. 연구팀은 이 모형에서 구름 속의 온도와 습도, 기압은 같게 하고 얼음결정의 모양만 바꾸면서 눈을 만드는 시뮬레이션을 해보았답니다. 그 결과 결정핵이 상자 모양일 때 ... ...
[News & Issue]혼자 살면 좋을까? 아니 골병난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실제 면역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이 좋은 붉은털원숭이를
관찰
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느끼는 원숭이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체내에서 면역세포 생산을 조절하는 호르몬 중 하나인데, 이것이 증가하면 미성숙한 백혈구가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