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서 있었어요. 다르파 로보틱스 챌린지는 가상의 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사람 대신 로봇이 들어가 복구 작업을 하고 빠져나오는 과정을 겨루는 대회예요.로봇에게 주어진 임무는 총 8개예요. 사고 현장까지 운전을 하고(➊) 차에서 내려(➋) 문을 열고(➌) 밸브를 잠근 뒤(➍), 벽에 구멍을 뚫고(➎) ... ...
- 수면 연구가 ‘ 눙가무니 코고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관을 닫아라!문제를 연이어 풀었음에도 눙가무니 코고네는 쉽게 잠들지 못했다. 대신 무언가에 깜짝 놀라며 중얼거리는가 싶더니, 이번엔 눈을 감은 채로 종이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는 게 아닌가!“아…, 으…! 이번엔 드라큘라가 나타났어요! 드라큘라가 두 개의 관에 각각 누워서 잠을 자고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언어를 쓸 줄도 알고, 표정을 지을 수도 있다던데…. 지구 정복을 하는 데 사람들을 대신해 침팬지가 도와 준다면 문제 없겠어! 침팬지를 만나 볼까? 침팬지야~, 어디에 있니? 내 지구 정복을 좀 도와 주지 않을래?침팬지야, 자기 소개 좀 해 줄래?우리 침팬지가 다 비슷해 보이겠지만, 침팬지에는 두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지금 판다가 사는 중국 서부 쓰촨성 지역에 정착했어요.이 지역은 대나무가 풍부한 대신 다른 먹이 자원이 부족했어요. 그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판다는 대나무를 많이 먹을 것인지, 아니면 다른 먹이를 찾아 살고 있는 터전을 떠날 것인지 결정해야 했어요. 최종적으로 판다는 다른 지역으로 ... ...
- CJ도너스캠프 꿈키움 과학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요리에 숨어 있는 과학을 익히지요.용유초 6학년 1반에서는 매주 월요일 오후마다 교과서 대신 꿈키움 과학교실 키트로 하는 수업이 열려요. 이날은 ‘새콤달콤 탄산음료 만들기’ 실험을 했지요. 재료에 들어 있는 탄산수소나트륨과 아세트산을 섞으면 두 물질이 중화되며 이산화탄소를 만들어요. ...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보정 작업을 해요. 하지만 나다브 바김의 작품은 모두 보정을 하지 않은 사진이에요. 대신 세트를 꾸미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요. 그가 자주 쓰는 소품은 이끼, 버섯, 나뭇잎, 꽃 등이에요. 알록달록한 투명 비닐로 화려한 배경을 표현하기도 한답니다.미니 인터뷰 친구들, 반가워요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보지 않은 입문자들을 위해, 현실 속 스타워즈 기술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 알아보자.포스 대신 음파로 물건 자유자재로 움직인다스타워즈의 기본적인 대결구도는 은하계의 평화를 지키려는 ‘제다이’ 기사들과, 은하계를 지배하고 있는 ‘시스’ 사이의 전쟁이다. 두 집단 모두 포스를 자유자재로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길쭉한 혈액 튜브도 없다. 보통 병원에서 혈액 검사를 할 때 사용하는 10~50mL 튜브 대신에 0.1mL 정도의 혈액을 담을 수 있는 ‘나노컨테이너’를 사용한다.마지막으로 의사도 없다. 혈액 샘플을 채취하는 데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고객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 테라노스는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리고 70년이 흐른 현재, 5세대 컴퓨터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디지털 대신 연속적인 아날로그를, 동시에 엄청난 양의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챘겠지만 프리드 교수가 신드롬 E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밝혀낸 것은 아니었다. 대신 뇌과학에서 이미 알려져 있던 사실을 바탕으로 신드롬 E를 연상할 수 있는 내용을 끼워 맞춘 것이다. 당시에는 뇌파검사(EGG)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이 아직은 걸음마 단계라, 프리드 교수의 이론을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