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d라이브러리
"
대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후 홀러리스의 응용으로 인해 성공적인 매체로 자리를 잡게 된다.그보다 앞서 1939년 2차
대전
중 독일의 기술자인 콘라드 추제는 자신이 만든 ${Z}_{2}$라는 기계에 35㎜짜리 필름을 이용했다. 추제는 펀치카드 대신에 쓰고 남은 필름에 구멍을 뚫어 사용했다. 펀치필름이었다.1951년 유니백(Univac)사는 ... ...
3 선진국은 상용화, 국내는 시범단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정보의 고속도로이와 같은 연구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로 (표1)과 같이 90년 12월 서울
대전
지역의 2백명 가입자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91년 5백명, 92년 2천6백명, 93년 4천5백명 수준으로 시범대상을 늘려갈 예정이며, 상용서비스는 94년에 개시할 계획이다.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경우에 따라서는 왼손잡이의 언어생활을 관장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랐다. 2차
대전
중 머리부 위에 총상을 입은 소련군인을 관찰한 루리아도 비슷한 결론을 이끌어냈다. 그는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 보다 실어증을 잘 극복해낸다고 주장함과 아울러 기능분담에 있어서도 오른손잡이의 반구,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나중 것과 접촉하면 유리전기(+전기)로
대전
하고, 나중 것은 항상 수지전기(-전기)로
대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욱이 전기열에서 멀리 떨어진 것끼리 접촉하면 보다 큰 전기가 발생함도 밝혔다.접촉전기에 대한 그의 실험은 결국 전지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볼타는 전지를 다음과 같이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어머니로 만든 사람은 프레드릭 터먼이라는 그 대학교수였다. 터먼은 제2차 세계
대전
이 끝난 1946년 스탠퍼드대학 공학부장이 되었다. 터먼은 어릴 때부터 일찍이 무선공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후 MIT의 전기공학 박사과정에 입학하게 된다. MIT에서 무사히 학위를 끝낸 터먼은 MIT의 강사가 되었다.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동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당시 학계의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2차
대전
이 끝난 후 전쟁에 사용됐던 많은 과학장비들의 용도는 자연히 순수한 과학연구용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특히 해군에서 사용했던 전자장비들이 바다의 조사에 투입 됐다. 그때까지 지구연구의 대부분은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영향은 날씨 이외에 비행기의 운항에도 중요하다. 원래 제트기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B29편대가 사이판섬으로 폭격을 가던중 고도 10㎞ 상공에 강풍대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됨으로써 그 존재가 드러났다.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경우 제트기류에 인접한 항로를 택했을 때 서울과 로스앤젤레스 ... ...
신소재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과 같이 광섬유는 빛을 신호로 정보를 먼 곳까지 전송한다.(2) 궁금이는 93년에 있을
대전
엑스포를 너무너무 고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기부상열차를 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생활에 이용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릴테지만 서울에서 부산까지 단 50분 안에 갈 수 있는 초고속 전철은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일본이 꿈틀대고 있었다. 일찍부터 과학기술경쟁에서 선두의 위력을 제2차 세계
대전
의 쓰라린 경험으로부터 절실히 느껴온 일본은 몇가지 획기적인 결정을 했다.1981년 10월 일본인들은 엄청난 계획을 전세계에 발표했다. 모두들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의심했지만 내심 두려워했다. 마치 열살짜리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양의 주대상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 이순신 장군은 백병전 타입의 중세 해전 방식을 현
대전
과 유사한 함포전 양상으로 바꾸어 전투마다 승리로 이끌었다. 장군의 함대는 그 당시 세계의 어느 나라 해군과 견주어 보아도 결코 뒤떨어지는 것이 아니었으며, 함포전술도 그후 세계해전사에 많은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