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상이 이뤄져요.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로저 펜로즈 교수와 블랙홀을 찾아낸 미국 로스앤젤레스 물리천문학부 안드레아 게즈 교수,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 라인하르트 겐첼 교수가 받았어요.올해를 비롯해 지난 4년 동안 천체물리학 ... ...
- [질문하면 답해ZOOM]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 (김미솔 brad999)결론부터 말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수도 있겠지만, 별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에요. 영국 버밍엄대학교의 매트 니콜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이 별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직후를 관찰하면서 발견한 현상이지요.연구팀은 남반구 에리다누스자리 부근에 있는 2억 1500만 광년 거리의 은하 중심부를 칠레에 있는 ... ...
-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현실에서도 가능한 일일까요?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마이클 C. 앤더슨 연구팀은 2009년, 원치 않는 기억이 떠오르지 않도록 노력했을 때, 실제 기억하는 정도가 줄어드는지 실험했다”며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 인지를 통제하는 뇌 영역인 배외측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채집한 국가가 돼요. 오시리스-렉스 미션 연구 책임자인 단테 로레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수는 “베누가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소행성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에 채집한 물질을 연구하면 태양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만화뉴스] 늙은 ‘똥’을 이식하자 어른이 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밀라노대학교 약대 엘폰시아 디아마토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대변 이식이 기억력과 공간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10월 1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나이 든 쥐의 장내 미생물이 어린 쥐의 노화와 관련된 중추 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24개월 된 쥐의 똥에서 미생물을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뇌 안에선 무슨 일이? 생각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생각벌레! 지금도 꿈틀꿈틀 너의 뇌 속에서 움직이지.아! 물론 진짜 벌레는 아니니까 놀라지 않아도 돼.너희 그거 아니? 인간은 하루에 수천 번의 생각을 하고 살아. 생각이 전환될 때마다나, 생각벌레가 꿈틀꿈틀 대지. 무슨 말이냐고?궁금하면 날 따라와!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포부를 밝혔답니다. ●인터뷰“생각을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그날까지!”임창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Q지난 8월 공개된 거투르드 모습을 교수님께서도 생중계로 시청하셨다고요?저 같은 BMI* 연구자들은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채널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나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30%였지만, 압축했던 오가노이드의 세포 수가 늘어난 비율은 50~80%였단다.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밍 구오 박사는 “실제로 베타카테닌의 밀도가 높아져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 전달이 빨라졌다”며 “이처럼 세포를 압축하는 방식이 윈트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뿐 아니라 다른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