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뜻"(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주파수’는 ‘두루 주(周)’, ‘물결 파(波)’, ‘셀 수(數)’가 합쳐진 한자어예요. ‘주기적으로(1초 동안) 발생하는 파동의 횟수’라는 뜻이지요.‘두루 주(周)’는 ‘골고 ... 뜻하게 됐죠. ‘평평할 견(幵)’은 방패 두 개를 나란히 놓은 모양에서 ‘평평하다’는 뜻을 갖게 됐답니다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이라는 용어로 산업 현장에도 쓰인다. 드론, 무기로 변신하다 ‘윙윙거린다’는 뜻의 드론은 무인항공기다. 무인항공기는 인공위성위치정보(GPS)를 이용해 사전에 입력된 좌표로 자동 비행한다. GPS로 좌표를 구하는 데 바로 수학이 쓰인다. 폭발물만 달면 드론은 미사일 무기가 된다.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5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환경, 유전적 요인을 더 크게 꼽았는데, 충격.편 : 그럼 사람이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뜻? 그냥 암에 안 걸리길 빌어야 하나?이 : 그렇진 않아. 초기에 찾아낼 수 있도록 조기진단에 더 힘을 쏟는 등 패러다임을 바꿔야.편 : 고통 받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도록, 암의 정체를 제대로 알기 ...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코드를 바꾸는 건 불가능합니다. 이는 해커가 계속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뜻입니다. 기존 워너크라이에서 코드를 살짝 바꾸는 변종은 섀도우 브로커스가 아닌 다른 해커들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확산되고 있는 변종은 대부분 처음 유포시킨 사람이 아니면 만들기 힘든 복잡한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산품을 만드는 게 목표다. 윤 교수는 “나노셀룰로오스 기술이 무르익기 시작했다는 뜻”이라며 “현재 뚜렷하게 앞서 나가는 국가가 없는 만큼, 한국도 투자해 연구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더 읽을거리Keun-Ho Choi et al. ‘Heterolayered, One-Dimensional Nanobuilding Block Mat Bat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다는 건, 어지간한 항생제에 다 내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균, 이른바 ‘슈퍼박테리아’가 나올 가능성도 더 커졌다. 문제는 한국에 이들 다제내성균을 억제할 강력한 최신 항생제가 없다는 사실이다. 내성을 갖추면서 세균은 점점 강력하게 ... ...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HCI 분야워들(wordle) 프로젝트다. 워드(word)와 클라우드(cloud)를 합친 말로, 단어 구름이라는 뜻이다. 긴 글줄을 입력하면 글에서 많이 쓰인 단어는 크기가 크게, 적게 쓰인 단어는 작게 만들어 예쁘게 배치해 준다. 워들은 이를 구현하는 도구로, 2007년에 IBM이 개발했다. 편리한 도구지만 단점이 있다.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XX는 20이고 XV는 15입니다. 즉 A부터 알파벳을 나열했을 때 20번째, 15번째 알파벳이라는 뜻이에요. 이렇게 풀어낸 암호는 다음과 같군요.본래 암호는 정보를 감추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잉크를 쓰기도 했고, 모스 부호처럼 다른 기호로 바꿔 정보를 숨기기도 했습니다. 글자나 숫자를 ... ...
- 제19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돌리면 통계는 더 많은 일상 속에 스며있다. 자신과 관련된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한다는 뜻의 ‘자기 측정’이라는 이름이 붙은 커뮤니티가 2007년 시작돼 지금은 200개가 넘었다. 2011년부터는 미국과 유럽에서 국제 규모의 콘퍼런스가 열리기도 했다. 이런 커뮤니티의 회원들은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 ...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퍼즐을 풀기 위해 다방면으로 생각하면 머리가 좋아지고 수학 실력이 오른다는 뜻이다. 반면 아무리 애를 써도 수학 실력이 제자리인 이유는 “유형별로 반복적인 계산만 반복하기 때 ”이라고 꼬집었다. 반복학습으로는 머리를 많이 쓰지 않아 어려운 문제를 풀 힘을 기를 수 없다는 설명이다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