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평가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학교생활과 상관없는 대회나 자격증을 학생부와 자기소개서에 기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고, 소논문도 기재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학교에서 관심 분야의 수업을 심화학습하고, 그 외 다양한 동아리활 동, 독서활동 등을 통해 관심분야를 다각도로 고민하고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마리가 냈다고 설명하면서 단독 수상을 고사해 공동 수상을 할 수 있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한편 물리학상에서는 여성 수상자가 여전히 가뭄이다. 올해 여성 과학자가 물리학상을 수상한 건 마리 퀴리(1903년), 마리아 메이어(1963년) 이후 세 번째이자 55년만이다. 3. 다른 주제 연구해 공동 ...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면평가 면접에서 서류평가에서 확인해보고 싶었던 부분을 주로 물었다”며 “자기소개서나 교사 의견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내용의 진정성을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장은 “사교육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고 학생을 평가하기 위해 모든 단계에서 노력하고 있다”며 “사교육에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콧 틸리(NASA IMAGE 위성 발견자)“ 잃어버린 NASA의 인공위성을 찾았어요!” Q. 자기소개를 해 주세요.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가워요. 저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로버츠 크릭에 사는 스콧 틸리라고 해요. 저는 낮에는 보트의 전력시스템을 설계하는 전기 기술자로 일하고, 밤에는 인공위성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고, 멸종위기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지어졌지요. 그 중 인상적인 생물을 소개할게요. 철갑상어는 이름에 ‘상어’가 있어 흔히 상어라고 생각하지만 상어가 아니에요. 연골어류인 상어와 달리 고등어, 조기 등과 같은 경골 어류지요. 철갑상어가 유명한 이유는 바로 ‘캐비어’라는 ... ...
- [별난이름 정리]살인마 운전기사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미국 수학자 루퍼스 이삭이 1951년에 ‘살인마 운전기사 게임’이라는 이름을 붙여 소개했는데요. 살인마와 도망자를 각각 추적자와 회피자로, 살인마가 도망자를 잡는 상황을 충돌한 것으로 가정했습니다. 이런 종류의 문제를 ‘추적-회피 게임’이라고 합니다. 이삭은 살인마가 모는 자동차가 ...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60%)를 통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서류평가 항목에는 학교생활기록부와 함께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가 포함된다. 학교별로 선발 인원에는 제한이 없어 학교에서 자유롭게 학생을 추천할 수 있다. 장 입착처장은 “KU자기추천과 KU학교추천 모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없다”며 “수시전형에 응시한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공부를 하려면 집중력과 자기 관리가 중요했다. 그는 “특히 자기소개서를 쓰는 시기가 끝나면 다들 흐트러지는데, 수능은 반드시 끝이 있고 대학에 가면 마음껏 놀 수 있다는 생각으로 꾹 참고 버텼다”고 말했다. 부족한 성적을 극복한 적이 있었냐는 질문에 황씨는 “국어 ... ...
- [가상인터뷰] 인간에게서 ‘잠수 적응 유전자’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깊은 바다에서 오랫동안 나오지 않는 거야! 도대체 어떻게 된 걸까? 일리 : 자기소개를 부탁해! 바자우족 : 안녕! 나는 바자우족 원주민이야. 우리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남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섬과 해안에 살고 있어. 바다 위에 세운 집이나 뗏목 위에서 생활 하면서 작살을 이용해 ... ...
-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1906년은 한국 과학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서양의학을 우리말로 번역한 최초의 책 ‘해부학(1~3권)’과 최초의 화학 교과서, 물리 교과서가 차례로 출간된 해이기 때문이다. 당시의 과학 교과서는 지금과 얼마나 달랐을까. 주요 내용을 발췌해 그래픽으로 구성했다.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