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야기"(으)로 총 6,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어렸을 때 짧은 파장의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해 우주를 추적하는 소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해 아버지와 함께 위성을 찾았지요. 그 경험이 이어져 지금도 이렇게 위성을 추적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신나게 위성을 찾을 거예요. 여러분도 무엇이든지 호기심을 ...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에서 따왔답니다. Q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스티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어서 영광이에요. 친구들도 과학에 흥미를 가져 보세요. 어떤 사소한 발견이든 좋아요. 그 발견이 나중에 인류에게 큰 보탬이 될지도 몰라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었어요. 여러분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신비한 바닷속의 이야기를 찾아보세요~! [기사 3] 장윤주 기자·고양 한산초 광섬유에 숨겨진 놀라운 빛의 성질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빛을 궁금해 했어요. 빛이 얼마나 빠른지, 얼마나 먼 곳까지 전달되는지, 또 입자인지 ...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은 아니다.리벳 교수는 다른 사람보다 탁월한 능력을 가졌다기보다는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기는 사람이었다. 대학에 입학한 뒤 만난 교수의 조언에 따라 어떤 분야를 공부할 지 선택했고, 박사 학위를 딴 뒤에도 동료들이 제시하는 문제를 풀면서 실력을 쌓았다. 리벳 교수는 “박사 ...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받은 다섯 명의 아이가 공장을 견학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죠.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재미만이 아니라 수학계의 중요한 문제까지 찾아낸 사람이 있습니다. 2013년 랜스 포트노우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자신의 책 ‘골든 티켓’에서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 빗대어 P대 ...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표방 하는 롤링수(數)톤. 롤링수톤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 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수험생 여러분께 유의사항 알려드립니다. 시간에 맞춰 입실해야 하며, 컴퓨터 사인펜을 반드시 준비해 주세요. 전자기기는 ... ...
-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통계가 알려주는 최고의 캐릭터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모험하는 시리즈가 먼저 떠오르는 분도 있겠지만, 오늘은 ‘마리오 카트’ 시리즈를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마리오 카트는 ‘캐주얼 레이싱 게임’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인기 비결은 크게 네 가지입니다. 우선 방향키와 버튼 몇 개만으로 쉽게 운전할 수 있다는 것과 ...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원들에게는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또 그는 연말마다 제자들이 보낸 소식과 자신의 이야기를 묶은 소식지를 만들어 제자들에게 보내는데, 제자를 아끼고 사랑하는 아놀드 교수의 마음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둘째 아들을 사고로 잃었던 2016년 소식지에 담긴 그의 말을 통해 그 마음을 대신 ...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시 찾은 행복을 한순간에 앗아갑니다. 이번 글은 암 연구에 차용된 성체줄기세포의 이야기입니다. 암세포는 흔히 들어봤지만 ‘암줄기세포’라는 단어는 생소한 분들이 많습니다. 그 개념은 1930년대에 처음 나왔는데요. 이름에서 예상할 수 있듯 암세포 중에서 줄기세포와 비슷한 특징을 갖는 ...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가설이 증명되면 RSA 암호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정답은 ‘큰 영향은 없다’입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리만 가설은 가우스가 발견한 소수의 개수를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함수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