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든 ‘라미네이트’라는 나무를 써서 보통 나무보다 7배나 강하다. ❷ 놀이동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오목거울과 볼록거울은 빛을 모으거나 퍼지게 해서 물체가 우스꽝스럽게 비친다. ‘어린이과학동아’ 3월 15일자의 ‘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실험실’을 참고할 것!와! 근데 여왕님의 이야기를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정도 받는다. 실제로 고려대에서 출제된 논술 문제들을 보면 교과과정 외적인 내용도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2010학년도 수시 과학논술 분석2010학년도 수시 논술고사에서 화학은 이성질체의 특성과 분리 방법을, 생물에서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이용한 호르몬의 원리를 물어봤다. 화학에서 출제된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수 없다.마이너리티 리포트와 솔트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홍채인식기’가
자주
등장한다. 주인공 톰 크루즈가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해 보안망을 통과한다. 그런데 사실 홍채인식기는 살아 있는 사람의 눈이라야 효과가 있다.빛의 양에 따라 동공 크기가 변해야 홍채인식기가 작동하기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캐쉬 메모리는 CPU와 메모리의 속도 차를 극복하고자 중간에 둔, 작은 메모리다.
자주
쓰는 정보를 담아두기 때문에 빠르게 읽어 들일 수 있다.멀티코어는 2001년 IBM에서 만든 ‘파워4(Power4)’에서부터 서막을 열었다. 마지막까지 클럭 향상을 고집하던 인텔도 새로운 코어 구조를 내놓으며 본격적으로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났지만 종종 그곳 하늘에 있는 나를 불러내 별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두 개의 내가
자주
만나다 보면, 어느 때인가 서로 같은 우주를 바라보고 있음을 깨달을 것이다. ... ...
번호로 찾는 지도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지명타자(designated hitter)를 뜻한다.수비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는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한다. 2008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우리나라 야구팀이 우승하던 순간을 기억해 보자. 9회 말 원아웃에서 쿠바 타자가 친 공을 유격수가 잡아서 2루수에게 던지고, 2루수는 다시 1루수에게 공을 던져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상태를 관찰하게 된다.한국은 산이 많아 지형에 영향을 받은 갑작스러운 기상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그런데 천리안 위성은 최대 8분에 한 번씩 날씨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 위성을 통해 30분에 한 번씩 기상 정보를 받는 지금보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날씨 변화를 파악하고 ... ...
이상은 필명, 본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 거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의 감성으로 수학을 받아들이고
자주
사용했지. 수학자는 아니었지만, 상당한 수준의 수학적 직관을 가졌어.수학 실력이 뛰어나다고 어려운 수학 기호를 많이 쓰진 않았겠죠?이상은 ‘삼차각설계도-선에관한각서 1’ ‘건축무한육면각체’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미국에서 생겨났다. 미국에서는 조종사의 조작실수 때문에 전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한두 사람의 사고라면 개인의 실수라고 볼 수 있지만 사고가 잦아지자 당국은 원인을 찾기 시작했다. 분석 결과 사고 원인은 복잡하고 보기 불편한 조종석 디자인 때문이었다. 조종석에는 수많은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부두교 주술사들이 만들어낸 좀비 이야기는 공포 영화와 소설에
자주
등장했다. 웨이드 데이비스 박사처럼 사실에 입각해 소설(‘뱀과 무지개’)을 쓰기도 하지만,좀비가 공포의 대상이 되면서 카니발리즘(사람 또는 동물이 같은 종을 잡아먹는 풍습)이 더해지게 됐다. 그래서 영화에 나오는 좀비는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