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었다. 이후 리튬망간산화물(LiMn₂O₄) 등 다양한 산화물이 양극 물질로 개발됐고, 이는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에도 활용되고 있다. 휘팅엄 교수가 개발한 리튬이온전지는 불안전성 문제도 있었다. 이는 폭발 위험이 있어 상용화가 어렵다는 뜻이기도 했다. 실제로 1988년 캐나다의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촉각과 발목에서 느껴지는 힘의 정보가 척수를 거쳐 소뇌로 전달됩니다. 이때 소뇌는 현재 걷는 상태를 파악하고 걸을 수 있도록 근육에 명령을 전달합니다. 이런 작용이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대뇌는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고 명령을 내리지 않는데도 우리는 자연스럽게 걸을 수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기법은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얻기 위해 형광 표지 물질을 처리한다. 문 교수는 “현재 이 기법으로 암세포의 식별 정확도를 93%까지 끌어 올렸다”며 “향후 실제 환자들의 암세포 데이터를 축적해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학습시키면 실제 암 진단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 ...
- [Q&A] 아프리카돼지열병 팩트체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있습니다. Q북한에서 온 멧돼지가 문제라면, 방역이 소용 없는 것 아닌가요?10월 21일 현재 파주와 연천, 철원 지역 멧돼지까지 감염된 것이 확인된 상황이라 멧돼지를 막지못하면 전국적으로 번질 우려가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던 체코의 경우 지금도 주변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 ...
- [SW진로체험] 맛있는 피자에 필요한 토핑은 '데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제가 생각한 화덕을 함께 만들어 줄 수 있는지 물어봤죠. 그때 같이 화덕을 만든 분은 현재 고피자의 화덕만 생산하는 공장의 대표님이 되셨지요. 앞으로는 전국의 모든 고피자 매장에 있는 고븐의 온도를 본사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본사로 보내는 기능을 가진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공개키 암호’에 그 원리가 녹아들어 쓰이기 때문이죠. 현재도 많은 수학자가 소수의 성질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소수와 관련 있는 미해결 난제도 많은데요, 특히 100만 달러(약 12억 원)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은 1부터 N 사이에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서 근무하며 고생물 분야에서 전시 및 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 화성시의 지원으로 발족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2008년 3차 탐사)를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경우 항체를 만드는 B세포를 인간화된 돼지로 생산해 미리 비축했다가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 시험관에서 배양해 만드는 인공혈액도 인간화된 돼지를 이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다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김 교수는 “한국은 실험에 대해 윤리적인 규제가 과한 측면이 있다”며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무기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뒤 현재 포스텍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무기화학 및 유기금속화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 네이버TV가 주관하는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동영상 시리즈 제작에도 참여했다. eslee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노벨상위원회의 평가처럼 두 사람의 발견이 ‘천문학계의 혁명’을 이끈 것이다. 현재 분광기의 성능은 사람이 걷는 속도와 비슷한 초속 1m로 움직이는 별의 미약한 변화까지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이런 첨단 분광기를 이용해 지구처럼 질량이 작은 외계행성도 발견되고 있다. 관측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