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단장 부산대에 있는 김광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장의 집무실 한
쪽
벽에는 80인치 스마트 TV가 놓여있다. 전국 곳곳에 퍼져있는 연구자들과의 화상회의를 위해 설치했다. 19개 연구단체의 40명이 넘는 연구자를 관리해야 하는 고충이 느껴졌다. 김 단장은 “융복합적으로 소재를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광학이성질체로 구성돼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한
쪽
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을 발산하려면 ‘입체발생 중심’을 구현해야 했기 때문이다. 입체발생 중심은 어떤 원자의 원자단 2개를 상호 교환했을 때 다른 분자가 되는 점을 의미하는데 보통 광학이성질체에 이런 ... ...
“전자담배 밀폐 공간에서 피우지 말아야. 공기중 니코틴 농도 올라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담배를 줄이거나 끊는 게 가장 좋지만, 계속 흡연을 해야 한다면 유해성이 적은
쪽
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게 전자담배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최근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액상형 전자담배와 유해성 차이는 적다고 밝혔다. 김 총괄 상무는 “일반담배가 최악, 금연이 최선이라고 할 때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전체를 제어하기 어려워진다.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도 훨씬 복잡해지고 발목
쪽
에도 장치가 부착되기 때문에 무거워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경량 모터 모듈을 새로 만들어 무게를 줄였다. 발목 관절 보조에 들어가는 장비의 무게를 30~40% 가량 줄였지만 전체 로봇 무게는 ... ...
UNIST "백금보다 효율 높은 새 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사실도 입증했다. 백종범 교수는 “지금까지는 기존 촉매에서 성능을 높이는
쪽
으로 연구개발이 많이 이뤄졌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촉매의 활성화 자리를 정확하게 알아내 더욱 효율적인 촉매를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공동 제1저자인 펑리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박사후연구원은 "이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이용한 생물적 방제로 사람도 살리고 자연 환경도 덜 파괴해 그나마 다행이다. (왼
쪽
) 생물학적 방제에 쓰이는 무당벌레와 풀잠자리 기생충하면 보통 회충과 편충을 떠올린다. 내 몸속에 같이 살고 있는 벌레를 인정하지 않고 완전히 박멸함으로써 찝찝함을 없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생에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세슘을 흡착하는 페로시안화 구리를 입힌 이산화규소 입자가 기본 몸체다. 입자 한
쪽
면에 백금 촉매와 니켈을 코팅해 운동 능력을 갖췄다. 폐수에 미세로봇과 과산화수소를 넣으면 백금 촉매가 과산화수소와 반응해 산소방울을 만들고, 로봇은 산소방울을 추진력삼아 움직인다. 니켈을 이용해 ... ...
"IBS에 퇴직 공무원들 요직 차지"보도에 과기부 다른 산하기관들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지낸 과기계 공무원이다. 홍 총장이 선임되기 전 사무총장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
쪽
공무원이 사무총장을 지냈다. 산업부와 과기부가 번갈아 낙하산 인사를 내려보낸 셈이다. 실제 홍 총장이 선임되기 전에 연구재단 직원들은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며 갈등을 빚기도 했다. ... ...
"저랑 놀아줘요" 개의 친근한 눈빛은 사람과 소통을 위한 진화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됐다"고 설명했다. 개는 늑대와 달리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눈윗근육(LAOM)과 눈을 귀
쪽
으로 당겨서 크게 보이게 하는 눈옆근육(RAOL)이 발달했다. 개가 대부분 둥글고 초롱초롱한 눈빛을 가진 반면, 늑대는 눈을 가늘게 뜨고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빛을 가진 이유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만들어지는 생합성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식이다. 왼
쪽
은 스위트 아몬드이고 오른
쪽
은 비터 아몬드다. 스위트 아몬드는 초기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발현량(FPKM values)이 미미해 결과적으로 씨 떡잎(cotyledon)에 아미그달린이 거의 없어 먹었을 때 쓰지 않고 고소하다. 최근 아몬드 게놈을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