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78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지진] 규모 5.8 강진의 원인은 며칠 남지 않은 추석 때문?
2016.09.13
날 지진의 규모가 더 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12일자에
발표
했다. 삭망은 달이 없는 그믐날과 완전히 둥근 달이 뜬 날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연구진은 1976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대지진 1만1397개가 일어났을 당시 달의 크기를 조사했다. 그 결과 삭망에 가까울 때 ... ...
[경주지진] 우리 집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
2016.09.13
열린 '제8회 국민안전기술포럼'에서 '지진재해 대비 기술 어디까지 왔나?'라는 제목으로
발표
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하지만 우리나라에 규모 6.5 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확률은 낮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내진 설계 기준도 최대 규모 6.0의 지진을 가정하고 ... ...
고속도로 귀향길의 오아시스!! 전국 휴게소의 명물먹거리
2016.09.13
가락국수 휴게소 단골메뉴인 가락국수. 신창휴게소에서 먹는 맛은 더 특별하다. 직접
발표
시켜 뽑아낸 면발의 쫄깃함이 굉장한 맛. 고춧가루로 매운 맛을 조절한 뒤 젓가락으로 한 웅큼 집어먹는 면발이 상상만으로도 식욕을 돋군다. 대천휴게소-돌솥굴밥 싱싱한 굴과 돌솥 바닥에서 바삭하게 ... ...
얼음물 샤워, 과학적인 성과 내다
과학동아
l
2016.09.13
orf2’ 등 ALS를 유발하는 원인 유전자 3개를 찾아냈다고 ‘네이처 제네틱스’ 7월 25일자에
발표
했다. ALS 환자의 약 10%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발병한다. 이런 환자 5명 중 1명은 21번 염색체에 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정확히 어떤 유전자가 ALS를 유발하는지 밝히기 위해 ALS 환자와 ... ...
개도 주인에게서 벗어나, 휴식이 필요하다!
2016.09.13
또한 누릴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이 연구결과는 ‘수의학 행동저널’에
발표
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도요타 리콜 사태는 갤럭시 노트 7 폭발 사건의 데자뷰?
2016.09.12
대응 방식에는 큰 문제가 있었다. NHTSA(미 고속도로교통 안전협의회)가 조사결과를
발표
할 때마다 소극적이지만 반박성 성명을 내면서 부품을 공급한 일부 미국 업체를 문제 삼기도 하고, 불량의 원인을 단순한 기계적 결함으로만 치부하려 하기도 했던 것. 일본의 언론들도 일종의 무역보복일 수 ... ...
“내 단백질 사진으로 그를 추모합니다”
2016.09.11
선정됐다. 하지만 수상이 결정됐을 때 스타인먼 교수는 이미 세상을 떠난 후였다. 그는
발표
4일 전인 9월 30일 췌장암으로 숨을 거뒀다. 이 소식을 들은 노벨상 위원회는 스타인먼의 수상을 취소하지 않았다. 당시 노벨위원회 사무총장을 맡았던 고란 한손 사무총장은 “그가 기쁨을 누리지 못한 ... ...
[북 5차 핵실험]규모 5.0 지진파 전달… 폭발력 4차때 2배
2016.09.11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책임연구원은 “폭발 위력이나 핵무기를 다양화하고 있다는 북한
발표
를 고려하면, 농축우라늄 핵무기 기술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09.11
GIB 제공 ‘부자 효과(luxury effect)’가 곤충에서도 증명됐다. 부자 효과란 소득 수준이 높은 부촌일수록 주변에 동물과 식물의 종류가 더 다양하다는 주장이다. 미국 캘리 ... 찾아 집까지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바이올로지 레터스’ 8월 3일자에
발표
됐다 ... ...
아침에 몸이 찌뿌드드한 이유
과학동아
l
2016.09.10
염증반응을 억제했다가 아침이 되면 염증반응을 재개해 통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쥐와 사람의 무릎 관절에서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윤활막세포를 추출한 뒤, 크립토크롬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없앴다. 그 결과 크립토크롬 생성 주기가 무너지면서 세포에 ... ...
이전
1647
1648
1649
1650
1651
1652
1653
1654
16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