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도로에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
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를 던져 넣어 찔리는 양심을 슬며시 감춘다. 하지만 이는 곧 재앙으로 돌아온다. 각종 쓰레기가 하수관에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심한 악취가 나고 심지어 장마철에는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야기로 시작했으니 그 이야기로 끝을 맺자. 모래 언덕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
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또다른 모래 언덕과 지평선이었다. 경계 너머는 또다른 경계였다. 태양계의 끝을 찾는 이들이 마주친 풍경이 이와 다를까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많았을 텐데가장 큰 문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주변의 저항이다. 모두들 융합만이 살
길
인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새로운 분야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과 저항은 생각 이상으로 크고 뿌리도 깊다. 내가 맨 처음 지금의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도 그랬다. 주변 사람 모두가 반대했다. 하지만 내 생각엔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귀여운 인형처럼 사진기를 든 우리들에게 멋진 모델이 돼주었다. 그날 이후로
길
라몬스터는 필자의 단골 이야깃거리가 됐다.숨쉬기도 힘들 정도의 뜨거운 낮과 가끔 영하로 떨어지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식물의 일생을 몸소 체험한다는 것, 예상할 수 없는 곤충의 공격에서 자신을 방어하고 살아가는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감옥을 빠져나온 것 이다. 간신히 살아난 라트레유는 사제를 그만두고 동 물학자의
길
을 선택한다. 1798년부터 1850년까지 그가 발견해 이름 붙인 신종은 모두 163종. 감옥생 활에서 재능을 제대로 발견한 셈이다. 그가 발견한 가장 유명한 신종은 '포르미카 루페센스', 일명 '노예개미'다. 유럽에서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경우, 광대뼈가 옆쪽으로 향해 있어서 앞에서 보는 얼굴은 갸름하고 옆에서 보면 앞뒤로
길
다. 유럽인의 얼굴이 이렇게 옆에서 봤을 때 긴 이유는 무엇 일까. 그 기원은 네안데르탈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 의 인류처럼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포스코 같은 기업이 반드시 나오도록 할 것”이라며 “그게 앞으로 우리나라가 발전할
길
”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움직임에 지역사회도 힘을 보태고 있다. 포스텍은 지난 2000년부터 매년 40~60여 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는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남아 있는 치아와 유골을 조사한 결과 구석기 시대 후기로 갈수록 사람들의 수명은 점점
길
어졌어. 인류의 수도 확 늘어났지. 이 연구를 한 미시건대학교의 레이첼 캐스퍼리 박사는 아이를 낳자마자 먹고 살기 위해 환경과 싸우던 ‘부모’ 대신 남아 있는 조부모들이 아이를 키우고 여러 가지 생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가진 거리’라면 바로 화살표로 표기하는 ‘벡터’다. 따라서 우리는 단위 없는
길
이 그 자체의 곱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벡터와 벡터의 곱을 생각하게 됐다.벡터 A와 벡터 B의 곱을 ‘A∧B’로 표기하기로 하자. 이 곱의 합당한 해석은 근본적으로 A와 B를 변으로 갖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다 ... ...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좋은 환경이었어요. 마을은 개발이 전혀 되지 않고 고립돼 있었죠. 가까운 소도시로 가는
길
은 모래로 덮여있어서 우기에는 감염 모기 외에는 아무도 지나다닐 수가 없어요.2003년 도로가 깔린 후 간혹 버스가 다니긴 하지만, 타는 사람은 거의 없었어요. 무척 가난했거든요. 한 가족이 하루에 우리 돈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