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전파를 발사하고 다시 받는 장비로, 전파가
물체
에 반사된 뒤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
의 위치를 알아 낸다. 인천항 주변에는 모두 5개의 레이더가 설치돼 있고, 각각의 배에도 작은 선상 레이더가 설치돼 있다.바다에도 길이 있다! - 항해로와 해도망망대해라고 해도 정해진 길로 가야 서로 ... ...
햇빛으로 찍는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세 가지 색 층이 들어 있습니다. 각각 파란색, 초록, 빨간색을 흡수하는 층이지요. 그런데
물체
가 흡수하는 색과 반사하는 색은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필름에 맺힌 상의 색은 실제와는 반대입니다. 필름에 보색으로 맺힌 상에 빛을 쪼여 특수한 감광지에 인화하면 제대로 된 원래의 색이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해 볼 수 있단다.가상현실 체험이 어땠어? 아직은 현실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가상의
물체
를 만지고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흥미진진했어.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미래에는 정말 현실과 구별하기 힘든 가상현실도 생길 거야. 가상현실이 가져다 줄 신기하고 편리한 미래를 위해 열심히 연구하는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쓰면 집의 흔들림 현상을 막아 준다.*공명 현상 : 소리나 진동이 일어날 때 근처에 있는
물체
가 함께 소리를 내거나 진동하는 현상. 악기도 공명 현상을 이용한다.“물론 목조 주택에도 단점은 있사옵니다. 소음이나 지진에 약하다는 점이지요. 하지만 산림과학원에서 새로운 목조 건축 기술을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내려와야 할 터. 이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 바이오안전연구과 김원명 박사는 “멧돼지는
물체
의 윤곽을 간신히 구분할 정도로 시력이 매우 좋지 않은 편”이라며 “멧돼지들이 잎이 채 떨어지지 않은 나무들을 보고 숲이 계속되는 줄 알고 달리다가 산 끝까지 다다른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존재한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힘의 형태는 중력이다. 중력은 ‘질량을 갖는 모든
물체
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설명된다. 중력 이외에 우주에 존재하는 또 다른 힘의 형태로는 전자기력이 있다. 전기와 자기 모두 전자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합쳐 ... ...
“여기 있는 줄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잡을 수 있는‘은신주행기법’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로봇이 범죄자를 피해
물체
뒤에 숨거나 장애물 사이를 이동해 도둑 가까이 접근하도록 설계한 거랍니다. 지금까지 로봇은 침입자를 파악해 구분하고 신고하는 정도였어요. 그래서 도둑이 금세 로봇을 발견하기 쉬웠지요. 하지만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추락하는 장면을 상상하지만 엘리베이터 로프는 최대 정원보다 10배 더 무거운
물체
가 매달려도 끄떡없다. 여러 겹의 강철을 꼰 선을 섬유 소재의 심 주위로 칭칭 감아 로프를 만들기 때문이다. 다만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에 비해 로프와 카의 무게가 더 무겁다. 버즈두바이에 설치된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국내 최대 실감방송연구센터다(多)시점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 정보는
물체
와 배경을 합성하기 위한 모델링 과정을 거쳐 3차원 영상으로 탄생한다. 호 교수의 연구센터에서는 주로 3차원 시각 영상을 재현하는 부분과 이를 압축하고 전송하는 영상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영상에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양’이다. 교과서의 ‘안치수’라는 표현에 바로 이런 뜻이 숨겨져 있다. 부피는 어떤
물체
가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말하고 들이는 어떤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양의 크기를 말한다. 들이단위와 부피단위가 같은 이유는 둘 다 평면이 아닌 ‘공간’에서의 크기이기 때문이다. x의 값에 따라 y의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