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프뉴스] 전동킥보드, 사람 다니는 길에선 타면 안 돼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다니는 인도로 걸을 때도 전동킥보드를 조심해야 해요. 한국교통안전공단이 2020년 12월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공유형 전동킥보드 이용자 중 3분의 2 정도가 인도에서 탔거든요. 전동킥보드는 자동차 도로와 자전거 도로에서만 이용할 수 있고 인도 통행은 불법이에요.연구팀은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먼발치서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딱지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그럼 수석 졸업생을 발표하겠습니다. 모든 훈련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1등을 차지한….”딱지는 당당하게 일어설 채비를 했습니다. 대장님이 말한 수석 졸업생이란 다름아닌 딱지였거든요.“코딱…, 아니 고딱지 대원!”딱지는 ... ...
- [특집] 청동검의 비밀을 낱낱이 파헤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고고학자 라파엘 헤르만 박사팀은 청동검이 실제 전투에 사용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헤르만 박사는 당시 전사들이 청동의 특성을 이해해 그에 맞는 전투 기술을 터득했을 것이라고 추측했지요. 연구팀은 먼저 청동검 모형을 만들고 중세 유럽 전투 기술을 재현해 직접 결투를 했어요. ... ...
- [과학뉴스] 한국 인공태양, 1억℃에서 20초 빛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KSTAR)로 인공태양의 온도를 1억℃에서 20초 이상 유지하며 세계 신기록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어요. 2019년 8초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또다시 신기록을 세운 거죠.인공태양은 태양처럼 원자핵이 서로 합쳐지는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장치예요. 과학자들은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 ...
- [과학뉴스] 반짝반짝! 신종 발광 버섯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인도 북동부 메갈라야의 대나무 숲에서 줄기가 초록빛을 내는 발광 버섯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학계에는 처음 보고됐지만, 현지 주민들은 예전부터 어두운 밤을 밝히는 용도로 이 버섯을 사용했지요. 이 버섯은 죽은 대나무에서만 자란다는 뜻으로 ‘로리도미세스 필로스타키디스(Roridomyces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기후변화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 변온동물의 노화를 앞당기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어요. 기온이 높을 때, 변온동물의 성장이 가속화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밝혀졌어요. 게르만 오리자올라 연구팀은 “성장이 빨라지면 단백질과 DNA에 활성산소가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고, ... ...
- [이달의 과학사] 광부를 구한 생명의 지저귐, 탄광의 카나리아, 은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끝에 1895년, 토끼나 쥐처럼 작은 온혈동물이 유독 가스를 민감하게 감지한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이들은 체구가 작고 대사 활동이 빨라, 인간보다 일산화탄소에 더 빨리 영향을 받았거든요. 그래서 1896년부터는 광부들이 쥐를 데리고 광산 작업을 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 일산화탄소에 훨씬 ... ...
- [한 장의 과학] 수고했어, 안녕! 아레시보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수리하는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어 최종적으로 해체를 결정하게 됐다”고 발표했어요. 그리고 12월 1일, 해체를 결정한 지 12일 만에 수신 플랫폼이 떨어지며 완전히 붕괴됐지요.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2016년 중국의 ‘구경 500m 구면 망원경(FAST)’이 건설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 ...
- [특집] 세상에 나쁜 턱수염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캐리어 교수 연구팀은 남자의 턱수염이 풍성할수록 충격을 잘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싸울 때 턱이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부위이고, 다치면 후유증도 심하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턱을 보호하기 위해 턱수염이 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가정했지요.연구팀은 ... ...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분석해 먹이 정보를 얻은 연구가 많았는데, 10월 22일에는 사냥 행동까지 알아낸 연구가 발표됐어요. 미국 스미스소니언열대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사마귀입술박쥐의 똥을 뒤진 결과지요. 사마귀입술박쥐는 개구리가 짝짓기를 할 때 내는 울음소리의 주파수를 듣고 먹잇감을 찾아내 영어로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