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실종 아동의 현재 나이에 해당하는 얼굴을 예측하고 포토샵으로 수정해 몽타주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부적절한 특징값에 의해 왜곡될 수 있는 초기화를 피했다. 그리고 학습 중간에 MCTS 방식으로 이후 승률을 미리 보여줄 수 있는 개선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함수를 좀 더 빠르게 개선하고, 정확하고 안정된 학습을 수행했다. [ 장점 3 ] 흑백 돌을 그대로 입력구글 딥마인드 : 알파고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마랭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많은 후대 수학자에게 큰 가르침이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있고, 인공지능 스피커까지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흥행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아날로그 방식의 무전원스피커였다. 사소한 불편함이 만든 리슨리슨은 작은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탄생했다. 리슨 개발자인 플러스라인 우정석 대표는 요즘 편리하게 사용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조차 불편했다.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된 이후 와 를 읽었고요. 실제로 이 책을 보면서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익히고 배경 지식을 얻은 게 큰 도움이 됐어요. 과학책을 읽다가 수박씨를 활용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것처럼요. 친구들도 책을 읽다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해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치가 파악되면 그 정보를 토대로 어라운드의 이동 경로를 빠르게 결정한다. 이 방식의 한 가지 단점은 소파나 책상, 의자처럼 위치가 바뀔 수 있는 물건이 많은 공간에서는 위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네이버랩스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구가 자주 옮겨지는 곳에 바코드를 설치해서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간편해졌다. 얼굴 인식률도 높다. 얼굴에 적외선을 쏘아 3차원 굴곡을 읽어 들이는 방식이어서 본인의 사진으로는 잠금장치가 풀리지 않는다. 애플은 “페이스ID가 얼굴을 헷갈릴 확률은 100만분의 1 수준으로 매우 낮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보다 한 달 먼저 아이폰X이 출시된 미국에서는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가 해 주고 있지. 인간들이 가져온 첨단 장비를 몸에 달고 우리 생활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말이야. 사생활 침해 논란도 있기는 했지만 잘 해결됐어. 지금은 우리 마을 앞마당에 자동모니터링카메라 장비도 세워져 있어. 인간들은 우리에 대해 모르는 게 아직 많아서 그런지 알고 싶은 게 많나 봐.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김 팀장은 “궁극적으로는 동료평가 방식 등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제 공동 연구팀은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 cing)’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염기서열을 작은 DNA로 절단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한 것이다. 마누엘 스파나글 독일환경보건연구센터 박사는 “양조 과정에 특히 중요한 아밀레이스 효소처럼, 농업 및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