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위원회가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했다. 캐나다 보건복지부는 이 균을 사용금지까지 했다.
병원
성 균과 구별하기 어렵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일으키기 때문.또 우리나라의 경우 유산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보다 외국에서 수입한 유산균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그런데 외국 제품을 분석해보면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느낄 뿐이며 우리는 냄새를 통해 다른 다양한 맛을 느끼는 것이다. 맛을 잘 느끼지 못해
병원
에 오는 사람들 가운데 90%는 후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다.올해의 노벨생리의학상은 이처럼 중요하면서도 과학계에서는 연구가 뒤쳐져 ‘잊혀진 감각’으로 불렸던 후각 메커니즘을 연구한 공로로 미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수집품이 하나 둘 쌓이면서 자연사박물관을 생각하게 됐다.
병원
에서 번 돈을 박물관에 거의 다 투자했지만 때로는 건설비가 부족해 자녀들의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렸다고 한다. 박물관을 위해 지질학과 출신인 며느리(조한희 부관장)를 10여년 동안 미국과 일본에서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 혀 등에 고무종(腫)이 생기고 뼈를 파괴하여 비강에 구멍이 뚫리는 일도 있다 매독의
병원
체(病原體) 1905년 독일의 세균학자 F 샤우딘과 E 호프만에 의해 매독의 각종 병적 재료에서 발견되었다처음에 Spirochaeta pullida라고 명명 했다가 나중에 다시 현재의 학명으로 변경했다 중량 2만 8,00t 이상의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좁아져 있는 경우 일일이 모두 수술해 회복시키기는 어렵다.미 터프츠대 성 엘리자베스
병원
의 제프리 이스너 박사 연구팀은 혈액이 부족한 심장이나 다리에 혈관성장인자 유전자를 투여해봤다. 그랬더니 혈관이 새로 만들어져 혈액이 공급되기 시작했다. 허혈성 질병을 혈관신생 방법으로 치료한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병사가
병원
에 온 뒤에야 아프다고 느끼는 이유는 생명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긴장감이
병원
에 오기 전까지 통증을 억눌렀기 때문이다. 사람의 정신력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폐암과 간암 조기발견 어려운 까닭통증은 크게 피부나 관절에 나타나는 체성통, 심장이나 위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16개 혈액원에서 채혈된다. 전체 혈액이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성분은 수혈용으로
병원
에 공급된다. 나머지 혈장 성분은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사업본부의 혈장분획센터로 보내진다. 알부민이나 면역글로불린 같은 단백질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서다. 이들 성분은 제약회사로 출고돼 의약품으로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
병원
성이 있고 어떤 종은 용혈성(溶血性)을 가지고 있다 자동제어공학이나 전기통신공학에서 폐(閉)루프계(系)의 주파수 특성을 벡터 궤적으로 나타낸 선도 무색의 유독성 액체이며 질소 머스터드라고도 한다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증상 및 뇌종양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일으킨다이 속(屬)은 40여 종 이상이 기재되었으며
병원
성(病原性)의 것만도 8종이나 된다 미국 해군이 건조한 세계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 1952년 6월 기공하여 54년 1월에 진수하고 9월에 완성, 동년 12월 30일에 원자력에 의한 역사적인 항행을 개시했다58년 7월 28일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증가하고, 주변에 치매환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꺼려했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병원
을 찾게 되면서 치매에 걸린 환자의 수가 심각할 정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50가구당 1가구 꼴로 치매 환자가 있지만, 2020년에는 15가구당 1가구 꼴로 치매 환자가 생길 것으로 추정된다.이는 결코 남의 일이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