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않은 것이 없구나. 허나 조정 대신들은 과학이나 산학은 천시하고, 당파싸움에만
신경
을 곤두세우고 있으니…….”조정 대신들 이야기에선 공주의 낯빛이 어두워졌다. 공주는 무언가를 말할 듯 말듯 입술을 옴찔옴찔 하더니 마음먹은 듯 말을 이었다.“연월기 만드는 일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 ...
대박을 부르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셈이지. 사실 휴대전화가 있으면 불편해. 책을 읽고 있을 때 자꾸 전화나 문자가 오면
신경
쓰이거든.그런데 내가 휴대전화를 안 쓰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내 생활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야.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내가 주로 생활하는 지역을 벗어나면 엄마나 아빠에게 매번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 초록물고기 | 320쪽 | 1만 3000원어렸을 적부터 사시였던 탓에 입체시를 보지 못했던 한
신경
과학자의 이야기다. 2차원으로만 세상을 보던 그가 시훈련치료를 하던 어느 날 급작스럽게 3차원 입체영상을 보게 됐다. 이 책은 온통 편평하기만 했던 세상에서 한걸음씩 천천히 3차원 세계로 들어갔던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
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뇌출혈을 비롯한 다양한 중추
신경
계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그의 발견은 ‘
신경
세포는 생성되지 않는다’는 100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이다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분포와 이동에 의존하는
신경
세포의 신호전달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결과 곤충의
신경
활동이 중단돼 살충효과를 나타낸다.2. 다음은 DDT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물음이다.1) [난이도 하] DDT를 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새, 모기의 서식처인 연못에 살포했을 때 연못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여주는 경우보다 알파파는 늘어나고 베타파는 줄어들었던 것.뇌파는
신경
계에서 뇌
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이다. 주파수 8~13Hz인 알파파는 심신이 안정됐을 때 늘어나고 13~30Hz인 베타파는 각성이나 긴장 상태에서 우세하다. 따라서 일상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뇌 활동의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상태에 관심을 갖고 정성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물고기를 키우려면 물의 특성에도
신경
을 써야 한다. 보통 동호인들이 많이 키우는 물고기는 아프리카의 말라위 호수와 탕가니카 호수에 사는 시클리드와 열대 우림의 하천에 사는 열대어다. 모두 열대 지방에 사는 물고기로 우리나라에서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명 ‘좀비 뇌’로 불렸던 미니브레인 칩이다. 독일 막스플랑크 생화학연구소의
신경
물리학자 페테르 프롬헤르츠 박사와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에 있는 바이오테크 회사 ‘텐소바이오사이언스’의 미로 패스트낙 박사가 개발했다. 이들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나 정신분열 같은 뇌질환을 연구하고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성인에게 알맞은(?) 묘약의 양은 약 3.5g”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 묘약 외에도
신경
이완제나 진통제, 환각제 등으로 추가 실험을 한 결과, 동물들이 좀비처럼 행동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로이진 박사는 이 연구가 앞으로 인류에게 악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판단하에 더 이상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역시 시상하부에 작용해 식욕을 불러일으키는작용을 한다. 이 밖에도 많은 호르몬과
신경
전달물질이 식욕을 결정하는데 관여하고 있다.그런데 왜 비만인 사람들은 렙틴의 강력한 명령에도 불구하고 식탐을 줄이지 못하는 걸까. 렙틴의 신호가 무시되는 현상, 즉 ‘렙틴 저항성’은 비대한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