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제주도에서 미국 로스엔젤레스(LA)를 잇는 해저 터널이 가능할까. 길이만 1만km를 훌쩍 넘는다. 평균 수심 4000m에 달하는 엄청난 부피의 바닷물은 어찌할 것인가.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학은 항상 상상을 현실로 만들었다.태평양 해저터널은 어디에 쓸까. 비행기를 타지 않아도 미국에 갈 수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내 장유형은 뭘까?’지난해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장유형(enterotype)에 대한 논문이 나간 뒤 언론이 크게 다루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장유형인지 궁금해했다. 저마다 정해진 혈액형이 있듯이 장에 거주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포에 따라 장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독일을 비롯한 다국적연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금으로부터 107년 전인 1905년,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 앞에 위태로울 때 세계 물리학은 빛, 공간, 시간, 물질, 에너지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천재적 업적(특수상대성이론)으로 패러다임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양자역학이 등장해 고전 물리학과 선을 긋고 세계는 현대 물리학으 ... ...
-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내 별명은 뭉치. 만날 사고만 일으킨다고 사람들이 부르는 별명이다.흥! 난들 뭐 그러고 싶어서 그러나? 그러지 않으려고 항상 노력하지만…, 나도 모르게 울컥해서 결국 그렇게 되는 걸 어떡하란 말이야? 개학 첫 날인 오늘도 화를 참지 못해 새로 만난 친구와 싸워서 벌을 받고 말았다. ‘내가 왜 ...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에이~, 설마!”대부분의 사람들은 로버트 제이 랭 박사의 오리가미 작품을 처음 보면 이런 말을 내뱉는다. 이 모든 것이 정사각형 종이 한 장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한 번, 실제 모습과 꼭 닮은 정교함에 또 한 번 놀라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것이 ‘수학이 없으면 ... ...
- 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즐기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미래 해저도시를 실제로 볼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바로 여수세계박람회예요.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여수 신항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행사의 주제는 바다! 세계 105개국이 참여해 해양생태부터 산업까지 바다의 모든 것을 보여줍니다. 다채로운 문화행사도 볼거리. 홀로그램에 레이저가 더해진 환 ...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화합물 IRT5를 이루는 미생물 5종은 모두 사람의 대변에서 분리한 유산균입니다. 다른 유산균이나 이들을 단독으로 쓸 때보다 5종을 조합할 경우 면역조절능력이 가장 탁월했습니다.”지난 4월 1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대한면역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면역학자인 광주과기원(GIST) 생명 ... ...
- V3도 못 찾은 바이러스, 청소년이 찾았어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국 IT 보안의식을 깨우다 과학동아 편집부로 날아온 e메일 한통. 동아리를 소개해달라는 짧은 내용에 첨부파일은 ‘KSIA연맹 소개서’, ‘YIS 소개서’, ‘런치킨 소개서’ 이렇게 세 개였다. 내용을 읽어보니 놀랍다. KSIA는 지난 1월 청소년 IT 동아리 ‘런치킨’과 ‘YIS’가 뭉쳐서 자발적으로 만든 ...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해저도시요? 만들 수는 있겠지만 누가 바다 속에서 살려고 할까요? 현실성이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됩니다. 어떤 나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들려고 할까요?”기자가 해저도시에 대해 물어봤더니 해양 과학자들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영화 ‘스타워즈’에는 거대한 우주기지 ‘데쓰 스타’가 여러 가닥의 녹색 레이저빔을 모아 일격에 행성을 파괴하는 장면이 나온다. 오늘날 지구에서도 비슷한 실험이 진행 중이다. 192개의 초강력 레이저를 작은 캡슐에 집중시키는 실험이다. 단, 그 목적은 행성을 파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공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