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초로 달 밟은 닐 암스트롱 유품 3000점 경매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처음 경매에 나온다. 암스트롱은 1969년 7월 20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에 내려 앉았다. 암스트롱의 두 아들인 릭 암스트롱(61)과 마크 암스트롱(55)은 아폴로 11호 임무가 50주년을 맞는 내년까지 아버지의 유품 약 3000점을 차례로 경매에 내놓을 예정이라고 28일(현지 시간) ... ...
화성서 고아된 탐사로봇 ‘오퍼튜니티’ 위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화성정찰위성으로 화성표면. 좌측에 희미하게 오퍼튜니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NASA 제공. 실종됐던 화성 탐사로봇 ‘오퍼튜니티’의 현재 위치가 포착됐다. 오퍼튜니티는 2003년 화성에 도착한 이후 15년 간 화성 ... 밝혔다. 화성탐사 로봇 오퍼튜니티.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 ...
그래서 달은 누구 것인가?
2018.09.22
달려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9년 말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우주선 ‘오리온’이 달 탐사를 떠날 예정이다.
미국
의 달 탐사는 1972년 유인 탐사선인 아폴로 17호 이후 47년 만이다. ※출처 및 참고 http://www.unoosa.org/oosa/en/ourwork/spacelaw/treaties/introliability-convention.html https://www.space.com/33440-space-law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안떠난 것이 아니라 못떠난 '그들'
2018.09.22
때문에 이기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미
항공우주국
(NASA)가 12일(현지시간)공개한 허리케인 ... 이야기를 듣지 않는 고집불통이라서 그럴까.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자 니콜 스티븐스 교수와 동료 연구자들은 지금부터 약 10년 전 역대급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 카트리나에서 생존한 사람들 중 ... ...
[여기에 과학]美허리케인 세기등급, 한국과 어떻게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미
항공우주국
(NASA)가 12일(현지시간)공개한 허리케인 ... 필리핀으로 접근 중인 초강력 태풍 ‘망쿳’,
미국
동부 노스캐롤라이나 주로 향하는 허리케인 플로렌스 등입니다. 플로렌스는 12일(
미국
동부 시간) 늦은 오후까지 4등급의 슈퍼 허리케인으로 불리다가, 13일 오전부터는 2등급으로 세기가 다소 ... ...
우주망원경 보호 기술로 유물 지킨다
과학동아
l
2018.09.14
- NASA 제공 박물관의 오래된 유물을 지키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나섰다. NASA는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소속 열제어코팅엔지니어인 니신 에이러햄이 특허 출원 중인 ‘분자 흡착 코팅’ 기술을 이용해 박물관의 유물과 표본을 보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월 26일 발표했다. 분자 흡착 코팅 ... ...
국제우주정거장서 공기누출 사고… 임시조치로 승무원은 안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국제우주정거장의 모습.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국제우주정거장(ISS)’ 외벽에 파손이 발생해 공기가 밖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는 채류 중인 우주인들의 임시 긴급수리를 진행해 내부 압 ... 도킹하면 하나의 거주구간이 된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 ...
인도도 유인 우주 개발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2008년 달 탐사 위성 찬드라얀 1호를 발사했으며,
미국
항공우주국
(NASA)와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달 표면 얼음지도’ 완성에 기여한 바 있다. 또 2014년 자체 제작한 화성탐사선 망갈리안을 화성 궤도에 진입시키는데도 성공했다. 2019년 1월에는 찬드라얀 2호를 달에 쏘아 올리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 ...
100번째 생일 맞은 ‘히든 피겨스’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과학을 전공했다. 1960년대 당시 캐서린 존슨.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졸업 후 수학자를 꿈꿨던 존슨은 1952년 NASA의 원형인 국립
항공
학자문위원회(NACA)에서 수학자를 선발한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지원하면서
항공
우주 분야로 진출하게 됐다. 초기에는 단순 계산을 하는 일에만 투입됐지만 출중한 ... ...
"잠에서 깨어나! 오퍼튜니티“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불능 상태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 등에 따르면 오퍼튜니티는 지난 6월 10일 거대한 먼지폭풍에 휩싸인 후 연락이 두절된 지 2개월이 지났으며, 현재로서는 교신 가능성이 낮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오퍼튜니티는 골프 카트 크기의 차량형 탐사 로봇으로, 2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