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음'도 소리다? 뇌에겐 그렇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연구를 진행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10일(현지시간) 사람들이 무음에 어떻게
반응
하며 실제로 무음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실험 결과를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청각의 착각(sound illusion)'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긴 소리 1개와 짧은 ... ...
[레디!퓨전] 부품 수리 착수한 인공태양 ITER…“삼중수소 에너지생성 실험 차질 없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1000만kg의 화석 연료와 맞먹는 에너지 생산이 이론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즈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이온 상태)가 필요하다. 태양은 자체 질량과 중력으로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를 스스로 만들지만 지구에서는 1억도의 초고온 ... ...
기온 1도 오를 때마다 꿀벌도 '일주일' 일찍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기록한 35만 개 이상의 개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벌 종류에 따라 기온 변화에
반응
하는 시기는 달랐지만 88종의 활동 시기가 모두 평균 4일 정도 앞당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야생벌이 일찍 활동을 시작한다고 해서 수분 활동이 일찍 이뤄지는 건 아니다. 식물이 개화하지 않아 ... ...
미토콘드리아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한다. 연구진은 이를 적절히 억제할 경우 옥살아세트산이 미토콘드리아 미접힘 단백질
반응
을 활성화해 오히려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이 강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인간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형성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 ...
전기차 화재 예방 실마리 찾았다...난연성 전해액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환경과학'에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리튬이온전지에 불이 붙으면 연쇄적인 발열
반응
을 동반한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면서 화재 진압이 어렵다. 상용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액으로 쓰이는 선형 유기카보네이트 용액은 인화점이 낮아 상온에서 쉽게 불이 붙는다. 개선을 위해 나온 전해질 난연성 ... ...
올여름 폭염 우려...'더워 죽을 것 같은' 온도는 몇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인간의 몸이 열로 인한 스트레스에 적응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이며, 개인마다 다른
반응
을 보이는 이유를 찾으면 더워지는 지구에서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 ...
편도체 무디면, 공포영화 마니아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뇌 영상 연구를 보면 공포영화를 잘 보는 사람은 놀람과 무서움에 대한 편도체
반응
이 크지 않다. 이들은 무딘 편도체를 자극하기 위해 더 무섭고 강렬한 것을 원한다"고 설명했다. 공포영화를 싫어하는 사람의 편도체는 조그만 자극에도 매우 민감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평소에도 잘 ... ...
처리 곤란 ‘PVC 폐플라스틱’ 친환경 분해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사슬 내부에 옥시란 분자를 도입하기 위해 볼밀링으로 두 단계의 탈염소화 및 에폭시화
반응
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옥시란 분자는 카보닐 일라이드 중간체를 형성했고, 이는 PVC 사슬에 아세탈 구조를 추가적으로 도입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후 가수분해를 통해 고분자 사슬이 수용성 ... ...
식량위기 대안될까…EU, '유전자교정 작물' 규제 완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이유를 설명했다. 또 "소비자는 더 풍부한 영양분을 함유한데다 맛도 좋고 알러지
반응
도 줄일 수 있는 식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모든 NGT 작물에 대해 규제를 완화하는 건 아니다. 자연적인 교배로 육종된 작물에 한해서만 일반적인 작물과 같은 기준으로 ... ...
개가 사람보다
반응
빠른 이유 찾을까...개 후성유전체 표준지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미리 위험을 알리는 보초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도 후성유전체는 가장 민감하게
반응
하는 요인 중 하나다. 최근 개 유전체 프로젝트 덕분에 고품질 유전체 참조서열은 생산됐지만 후성유전체 자원 부족으로 개의 유전체 내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했다. 조제열 교수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