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장"(으)로 총 2,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동아사이언스 l2018.08.24
- 교수는 2012년, 연구실 동료였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감염생물학연구소장과 함께 크리스퍼를 처음 고안한 주인공이다. 크리스퍼는 인간이 지닌 30억 쌍의 긴 DNA 염기서열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잘라낼 수 있어 생명과학자들의 각광을 받았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 ...
- 5G 이동통신용 ‘초미니 기지국’ 국산화 추진… 2022년 상용화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있다. 스몰셀 장비는 배낭형으로도 만들 수 있다. 유캐스트 김재형 대표, 전형준 연구소장, ETRI 김대익 책임연구원(왼쪽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5세대(5G) 이동통신 실용화에 필요한 ‘스몰셀 장비’ 국산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22년까지 5G 이동통신에 ... ...
- 난치암-당뇨병 잡는다…UNIST, 대사스트레스 연구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조무제 전 UNIST 총장, 박중곤 한국연구재단 공학단장, 박능화 울산대학병원 의학연구소장, 이용탁 GIST 석좌교수, 정진하 서울대 석좌교수를 비롯한 생명과학 분야 관계자 120여 명이 참석했다. 정 총장은 “CRMSRC에서 그동안 해결하지 못한 난제들을 풀고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발견했다. 이 소녀의 족보에는 ‘종을 초월한 사랑’이 최소 두 번 있었던 것이다. 페보 소장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생각보다 자주 자손을 남겼다”며 “당시 인류 사이의 이종교배가 보편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약 4만 년 전 유라시아 지역에서 발견된 인류들. 파란색은 ... ...
- 살균효과 가진 신비의 물 원리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8.22
- 플라스마 화학반응을 제어할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석재 핵융합연 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이른 시일 안에 농·식품 분야에서 플라스마 기술을 상용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2018.08.22
-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단법인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날리지(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2018.08.17
- 몰라 두렵지만, 부딪혀 보려고요!” 꼬마 새 박사에서 제비 연구자로, 다시 꾸룩새연구소 소장으로 발전하고 있는 정다미 연구원의 꿈은 무엇일까? “제비 마을을 만들고 싶어요. 논이 펼쳐져 있고 하천이 흐르는 곳에 우리나라 전통가옥을 지어 사람과 제비가 함께 어울려 사는 제비 마을을 꿈꾸고 ... ...
- 파리의 수학자들...③ 연구자와 대중을 위한 '수학의 집'으로! 수학동아 l2018.08.17
- 연사로 나서 내용을 설명해주고 참여자와 토론합니다. 레미 모나손 푸앵카레연구소 부소장이 2020년 완공될 ‘수학의 집’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있다. 손에 들고 있는 모형도 수학의 집에 전시할 예정이다. - 조혜인 기자 제공 수학으로 만든 예술 작품으로 전시도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1900년대 ... ...
- 흉터없이 치료 가능한 ‘내시경 수술로봇’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08.16
- 적은 수술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기계공학과 미래의료로봇연구 권동수 소장 팀은 유연 원격 내시경 수술로봇 ‘케이플렉스(K-FLEX)’를 개발, 살아있는 돼지의 담낭 절개 수술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과거에는 배 속 장기를 수술하기 위해 복부 중앙을 길게 베어내는 방법을 주로 ...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동아사이언스 l2018.08.14
- 관계없이 약 9%가량 (오차범위 2.4%)의 신경세포만이 생체리듬을 바꾸는 신경전달 물질인 '소장혈관성 단백질(이하 VIP)'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했다. 쥐의 SCN 내 신경세포 중 약 2000여 개만이 VIP를 생산할 수 있단 뜻이다. 특히 VIP를 만드는 신경세포는 두 종류로, 항상 긴장을 유지하다 빛 자극이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