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뉴스
"
처음
"(으)로 총 10,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혜성 관측 기록,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관측해 핼리혜성의 이동경로, 위치, 밝기 등을 세세하게 기록했다. 핼리혜성을
처음
발견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가 주기를 예측한 이후 첫 번째 지구 방문을 기록한 것으로 핼리혜성의 정확한 궤도 자료를 담고 있다. 동시대 다른 나라에는 없는 기록물이다. 이번 세계기록유산 등재 ... ...
리튬이온전지 대체, 폭발 위험 없는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8%의 용량이 유지됐다. 이는 한 사이클 당 약 0.004%의 용량만이 감소하며 총 45일간 작동 시
처음
용량 대비 2%만 감소한다는 의미다. 변혜령 교수는 "용해도가 낮은 유기 활성 분자를 활용해 레독스 흐름전지의 활성 분자로 사용할 수 있는 분자 디자인 원리를 보였다"며 "향후 수계 레독스 흐름전지로 ... ...
[오늘과학] 케이크도 뽑아먹는다...3D프린팅이 여는 미래 식탁
동아사이언스
l
2023.03.22
미래 식품 생산과 유통 구조를 바꿀 신개념 기술로 꼽힌다. 2005년 미국 컬럼비아 공대가
처음
도입했지만 식용 잉크로 쓸 수 있는 식재료에 제한이 있어 지금까지 초콜릿 등 가벼운 디저트를 만드는 데만 사용됐다. 조나단 블루팅거 미국 컬럼비아대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최대 7가지 재료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안쪽에 있는 G단백질을 활성화해 신호가 전달된다. 400가지나 되는 냄새수용체 가운데
처음
으로 OR51E2의 구조가 밝혀졌다. OR51E2는 아세트산(acetate)과 프로피온산(propionate)처럼 작은 카복시산 분자에만 활성화된다(위). 구조 분석 결과 리간드가 들어갈 공간이 이들 분자에 안성맞춤이었고 이보다 큰 ... ...
코 속 혈관‧림프관 정밀지도 첫 완성..."바이러스 면역 연구에 큰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3.03.22
IBS) 제공 복잡한 코 속 혈관과 림프관을 3차원으로 자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지도가
처음
으로 완성됐다. 면역 반응에 특화된 구조가 확인되면서 향후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적인 면역활성화 기능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고규영 IBS 혈관연구단 단장과 홍선표 ... ...
유방암 치료제에서 알츠하이머 치료 가능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있었지만 아베마시클립이라는 약물과 알츠하이머병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
이다. 허향숙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항암제인 아베마시클립이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며 “앞으로 아베마시클립을 ... ...
이노스페이스,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상업 발사 가능 국내 첫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등 국내 발사체 기업들 중에서
처음
으로 보인 가시적 성과다. 정식 시험발사에 나서
처음
으로 성공한 것이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한빛-TLV’ 시험발사 성공은 독자적으로 로켓 개발이 가능한 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세계 우주 발사 서비스 시장의 문을 두드릴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는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신체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어르신들을 만난 경험도 있는데. “위안부 어르신들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를 얻은 후
처음
에는 이분들이 얼마나 큰 정신적 충격을 받았을지 생각했다. 모두가 알 듯이 굉장히 힘든 일이었으며 이후에도 모진 세월을 겪으셨다. 피해자라기보다는 ‘생존자’라는 표현이 적합할 수 있다. 하지만 ... ...
영구동토층에 묻혔던 '좀비 바이러스' 깨어났다..."전염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약 4만 8500년 전 호수 밑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바이러스를 포함해 인류가
처음
보는 바이러스 13종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러스에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단세포 동물인 ‘아메바’를 미끼로 삼아 바이러스를 찾아냈다. 아메바 배양액에 영구동토층 시료를 넣고 아메바의 감염 ... ...
코로나19 기원 너구리였나…WHO "중국, 알면서도 3년간 숨겨"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등 각종 야생동물이 식용으로 팔렸다. 코로나19가 2019년 12월 WHO에 정체불명 폐렴으로
처음
보고됐을 때 WHO는 이 시장을 최초 발병지로 지목했다. 국제 연구진이 분석한 유전자 샘플은 당초 3년 전 수집됐다. 중국 과학자들이 분석했으나 중국은 올해 1월에야 국제 인플루엔자 정보공유기구(GISAID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