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스페셜
"
인공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CEO "
인공
지능에 대한 성급한 규제 경계해야"
연합뉴스
l
2019.09.25
경계해야"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AFP/연합뉴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인공
지능(AI)에 대한 성급한 규제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피차이 CEO는 알고리즘에 따른 편견이나 책임 등 이미 알려진 AI의 문제들을 언급하며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한 과학자들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올해 노벨상 관전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자주 수상하는 생리의학상에서는 실용적인 발견이 종종 상을 받는다. 최근에는 2010년
인공
수정, 2015년 기생충치료제 등을 발견했다. 2018년에는 면역항암제의 길을 연 기초연구자가 수상했다. ... ...
미래 기상이변까지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1년 단위 예측만 가능했다. 절반 이하만 맞힐 수 있어 예측 가치가 떨어졌다. 3년간
인공
지능(AI)을 공부한 한국의 기상학자가 AI를 활용해 엘니뇨 예측 기간을 6개월 이상 늘리는 데 성공했다. 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직접 개발한 AI를 이용해 엘니뇨 현상의 예측 기간을 현재 1년 ... ...
KAIST, 日수출규제 맞설 소재·부품 기술 보따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포토레지스트 관련 기술을 포함해 소재∙부품∙장비 기술 4개가 소개됐다. 이와 더불어
인공
지능(AI) 및 소재부품 특허기술 5개도 함께 선보였다. 김상율 교수가 이날 공개한 저열팽창 불소화 투명폴리이미드’ 기술은 쉽게 말하면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재 제조 기술이다. 김 교수는 ... ...
루닛 개발한 유방암 진단 AI, 대한영상의학회서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도 공개 예정이다. 19일 오후 12시 40분에는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공국생명과학과 함께 '
인공
지능의 임상 도입 효과'에 대한 런천 심포지엄도 마련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우주산업을 이끄는 리더들, 그들의 뒷이야기(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칸 SES 네트웍스 아시아태평양 데이터세일즈 부사장은 ‘정보통신산업의 지형 바꾸는
인공
위성 혁명’을 주제로 발표했다. 베스나드 공동창업자처럼 그 또한 갑작스런 사정으로 참석이 힘들어진 스티브 콜러 SES 회장을 대신해 한국을 방문했다. 갑작스러운 초청에도 불구하고 초청에 감사한다며 ... ...
'다이어트 콜라'도 콜라만큼 해롭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2
되거나,
인공
감미료의 단맛에 익숙해져 다른 달콤한 음식을 많이 먹게 된다"고 꼬집었다.
인공
감미료가 무해하다고 믿고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무작정 많이 마시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탄산음료와 다이어트탄산음료 뿐 아니라 아이스티나 과채주스 등에도 당분이 ... ...
ADHD 단번에 진단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진단하는
인공
지능(AI)을 개발했다. 서울대병원은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해 뇌 영상만을 보고 ADHD인지 정상인지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ADHD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충동적이거나 산만한 증상을 ... ...
[과학게시판]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제도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원자력지식을 활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대회다. 이번 대회 주제는 ‘인터넷,
인공
지능(AI) 등 다른 장르의 학문과 원자력을 융합한 미래 기술’이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오는 11일 대전 유성 테크비즈센터 11층에서 '제6회 굿모닝 사이언스 조찬포럼'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 ...
"서울 CO2 증가량, 세계 최대 공업지역 中광저우와 맞먹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주장이 나온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공동 연구팀은
인공
위성 자료를 이용해 전세계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원격탐사 분야 국제학술지 ‘환경원격탐사’ 8월호에 발표됐다.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