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6,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의 ‘바코드’ 읽어 암세포 천적 면역세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개발한 기술로 면역세포 중 하나인 B세포의 수용체를 분석한
결과
. 세포 하나하나의
결과
가 모여 바코드처럼 보인다. B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는 능력과 기능에 따라 유전정보와 돌연변이 발생 비율 등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마틴 스미스 제공 암세포를 정확하게 공격하는 면역세포를 ‘바코드’를 ... ...
50년 전 오늘, 인류의 위대한 우주항해가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데 도움을 줬다. 달과 지구 암석 사이의 특정 물질의 함량에 차이를 보인다는 분석
결과
는 지구 역사 초기에 화성 크기의 물체와 지구가 충돌하며 지구로부터 날아간 파편이 달이 되었다는 이론을 확인해 줬다. 2015년까지 아폴로 임무가 가져온 데이터를 사용해 2500편의 과학 논문이 출간됐다.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 재료’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앞으로 열전 반도체 소재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6월 25일자에 발표됐다. 산화아연층 및 열전재료로 제작된 열전 소자의 모습이다. KIST 제공 ... ...
후천적으로 발생한 뇌 돌연변이가 알츠하이머 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이정호(오른쪽)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유석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후천 ... 밝혀냈다”며 “타 유전체 기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제6회 과기장관회의] 미세플라스틱 문제해결 범정부 협의체 내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최근 1인당 매주 신용카드 1장 분량인 약 5g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해 충격을 줬다. 정부는 미세플라스틱이 육상, 해양 등 자연환경 외에도 산업 분야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과 사회정책을 연계해 범정부 ... ...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웨어러블) 컴퓨터 등에 응용돼 제조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3월 28일자에 발표됐다. ... ...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국내 업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독자적인 레이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한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더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현재 기록을 넘는 탐지거리 5km의 드론을 개발하는 동시에 제품 상용화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 선임연구원은 “상용화를 함께 할 기업은 아직 ... ...
지구물질 순환 비밀 간직한 해양 바이러스 실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미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이 해양 고세균과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는 연구
결과
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일자에 발표했다. 김종걸(오른쪽) 충북대 미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식당'을 보면 주변 환경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정보를 수집해 분석한 후 실제 센서스 정보와 비교하며 데이터 예측의 질을 높였다. 그
결과
실제 센서스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주간인구 변동의 95%, 야간인구 변동의 95%, 기업 수 93% 소비자 소비수준 93%를 예측해내는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주간인구는 특정지역에서 주간에만 활동하는 ... ...
불소 이용해 그래핀 3배 더 빨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더 손쉽게 원료인 탄소를 얻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새로 개발된 기술을 적용한
결과
그래핀을 분당 12mm의 속도로 빠르게 성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보고된 그래핀 성장 최고속도였던 분당 3.6mm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다. 펑딩 그룹리더는 “2차원 물질의 성장과정에서 ... ...
이전
1657
1658
1659
1660
1661
1662
1663
1664
1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