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역의 수학적 이유, 비교우위
수학동아
l
201208
54개국 전체를 합친 것보다 많다.만약 자원을 가진 나라가 자원을 수출을 하지 않고
직접
물건을 만들면 어떨까? 굳이 우리나라가 자원을 수입해서 물건을 만들어 수출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무역을 하는 이유는 국제적으로 나눠 일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바나나는 열대지방에서 자라기 ... ...
종이를 끼워 만드는 다면체
수학동아
l
201208
이용해 깎은 정십이면체를 만들 수 있다. 이제 을 통해 종이를 끼워 만든 축구공을
직접
만들어 보자.아하! 생각이 쑥쑥! 다면체에서 찾아보는 점, 선, 면!과 를 통해 만든 다면체가 전개도를 이용해 만든 다면체와 다른 점은 뭘까? 합동인 평면도형을 여러 장 이용해 끼워 만든다는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
과학동아
l
201208
측정됐고, 복잡한 이론 계산과 비교할 수 있다. 힉스 입자가 있다면, 힉스 입자 자체가
직접
나타나지는 않아도 B중간자가 붕괴할 때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효과를 계산할 수는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질량이 양성자보다 약 100배 정도는 커야 한다.입자는 질량이 크면 여러 입자로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08
꽂긴 어렵다. 방아쇠만 당기면 화약의 힘으로 발사되는 총과 달리 활은 매번 사람이
직접
시위를 당겨야 하기 때문에 오차의 여지가 더 많다. 뿐만 아니라 화살은 활시위를 떠나는 순간부터 물고기처럼 허공을 구불구불 헤엄쳐 날아간다.화살은 직진하지 않는다, 궁사의 패러독스화살이 똑바로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08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후반 들어서다. 그 이전에도 방호복이 존재했지만 총탄을
직접
막기보다는 폭탄 파편을 막는 의미가 컸다.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이후에는 석유화학공업이 발달하면서 강화플라스틱과 나일론 등으로 총알을 막는 방탄복이 등장했다. 하지만 충분한 방탄성능을 얻기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08
D는 몸에서 칼슘을 흡수하는 데에 중요한 성분입니다. 햇빛 속의 자외선을 받아서 몸에서
직접
만들어내는 유일한 비타민입니다.실제로 북서 유럽은 햇빛이 잘 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이 가설이 타당해 보입니다. 하지만 다른 지역을 보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프리카 수단은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08
현대 말의 조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머리뼈와 이빨의 차이점에 의해 현생 말의
직접
조상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아스트로히푸스(Astrohippus)는 발굽이 한 개인 또 다른 종류인데 플리오히푸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말굽이 하나인 세 번째 말인 디노히푸스(Dinohippus)는 1200만 년 전에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08
걸치고 말매미를 채집했다. 정치외교학과 학생인 그는 매미탐사대를 통해 시민과학을
직접
경험하고 있다. 채집한 말매미는 유전자 분석과 함께 종과 지역별로 형태를 분석하는 데 쓰인다.채집한 매미는 수컷. 장재연씨는 곤충 전문가답게 매미의 생김새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기 시작했다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08
리에주 와플보다 더 깊다.]당신의 선택은 무엇?리에주 와플을 제대로 맛보겠다는 생각에
직접
리에주 지역을 찾아가 와플을 사먹어보기도 했다. 다음날 인터뷰에서 대부분 반죽을 같은 회사에서 공급받는다는 이야기에 허탈해지긴 했지만. 코스터망 씨는 “리에주 와플이 리에주에서 태어난 것은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08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X선으로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직접
눈으로 볼 날이 멀지 않았다. 바로 ‘극한광’을 이용한 ‘결맞음 X선 회절 이미징’ 기술을 통해서다.이름이 극한광인 이유그런데 왜 ‘극한광’일까. 극한광응용기술 국가핵심연구센터(CELA)의 노도영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