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고 싸운다.부모에서 시작된 친족과 공동체는 점점 규모가 커져
결국
국가와 민족이라는 가상집단까지 확대됐다. 공동체 규모가 커진 탓에 폭력의 양과 질도 현격히 바뀌었다. 특히 현대의 전쟁은 공동체를 지키고자 하는 인간의 사회성과 심리를 위정자들이 능란하게 조작해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잘 때도 늘 나와 함께 했지. 그런데 어느 날 다른 쓰레기에 섞여 이리저리 쓸려다니다가
결국
바다까지 떠밀려 왔어. 며칠 전까지만 해도 태범이의 사랑을 독차지하던 나였는데…. 도대체 나는 어디로 가는 걸까?“허허허~, 어서 오렴. 오늘 온 신입이구나! 나는 이 섬의 터줏대감, 거북할배란다. 이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인터넷, 게임에 지나치게 빠져서 스스로 멈추지 못하고,
결국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경우를 ‘디지털 중독’이라고 부른다.디지털 중독은 알코올 중독이나 마약 중독처럼 법으로 규제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덜 심각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디지털 중독도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곡선은 쌍곡선 궤도다. 행성에 착륙할 때는 쌍곡선 궤도에서 포물선 궤도를 거쳐
결국
은 타원 궤도를 따라 들어간다. 하지만 스윙바이처럼 행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가속도를 얻고자 할 때는 에너지가 가장 높은 쌍곡선 궤도를 사용한다. 태양계를 넘어 외계로뉴호라이즌스 호는 얼음 조각과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낮게 유지된다. 반대로 개화를 촉진하는 유전자는 낮이 길어지면 조금씩 발현이 늘어나
결국
엔 꽃이 핀다.식물 기억의 또 다른 예는 면역이다. 사람의 면역세포는 한번 침입한 병원균을 B세포에 기억해두기 때문에 2차 침입 시에는 맞춤 항체를 만들 수 있다. 면역세포가 없는 식물도 병원균에 따라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나라도 수입한다.하지만 가장 좋은 건 적게 먹는 것이다. 좋다고 많이 쓰면
결국
더 많은 나트륨을 먹게 된다. 이 교수는 “일반 정제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적은 천일염도 많이 먹으면 나트륨이 몸에 쌓인다”고 강조했다. 윤은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관도 “나트륨 사용을 줄이려면 식습관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바로 지금 사람들이 불안해 하는 요소를 찾아야 해요. 시대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
결국
은 더 무서운공포영화를 만들 게 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사를 조절한다’는 것과 ‘DNA가 똑같은 세포가 왜 서로 다른 세포로 분화되는가’는
결국
DNA가 정보를 저장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1996년 미국 록펠러대 데이비드 앨리스 교수가 원핵생물인 테트라하이메나(Tetrahymena )에서 히스톤 아세틸기전달효소를 발견했다. 이 효소는 ... ...
RCS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의 도감청 소프트웨어 업체 ‘해킹팀(Hacking Team)’에서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폭로 전문 웹 ... 자신이 해킹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기 조차 힘든 것이다.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은 없다.
결국
사용자가 스스로 조심하는 수밖에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뒤로 접히는 턱관절은 모사사우루스가 먹이를 식도로 밀어 넣을 수 있게끔 도와줬다.
결국
모사사우루스의 입속에 한번 갇힌 피식자는 이 포식 도마뱀의 위장 속 외에 달리 갈 곳이 없었다.고래의 탈을 쓴 도마뱀지느러미 달린 악어의 외모를 가진 모사사우루스가 도마뱀의 한 종류라는 사실이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