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순한것"(으)로 총 3,0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이걸 정말 네가 만들었니?” “네, 주인님” “이 무늬를 어디서 따온 거지?” “나뭇결의 모양을 기하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주인님.” 다음 날, 주인은 좀더 큰 나뭇조각을 가져와서 전기식 진동칼과 함께 앤드류의 손에 건네줬다. “이걸로 뭐든지 만들어봐라, 앤드류. 뭐든지 네가 원하 ...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순회세일즈맨 문제(TSP, Traveling Salesman Problem)는 컴퓨터과학의 대표적 난제 중 하나다. 세일즈맨이 N개의 도시를 모두 한번씩 방문하고 돌아오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문제다. 방문해야 할 도시 수가 50개면, 방문하는 모든 경로 수는 49!, 즉 6.08×1062개다. 여기서 각각의 경로는 하나의 솔루션이 된다. ... ...
- 짠맛 신맛 가려내는 전자혀 국내서 개발과학동아 l2003년 08호
-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전자혀가 뒤늦게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대 생물자원공학부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던 배영민 박사(현 서강대 산업기술연구소)는 조성인 교수의 지도 아래 짠맛과 신맛을 구별하는 전자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겨울 농공학분야 전문학술지인 ‘트랜 ...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저온생물학에서는 저온보존 기술로 생명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저온보존으로 겨냥하는 대표적인 미래기술은 인공동면과 냉동보존이다.겨울잠 자며 우주여행한다먼저 인공동면의 경우 사람도 일부 동물처럼 동면을 즐길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곰과 다람쥐, 햄스터, 박쥐 등은 외부 온도에 ...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식인 풍습은 인류학에서 다루기에 난감한 주제 중 하나일 것이다.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현대인의 관점에서 그것이 상당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그래서 혐오감을 기피하려는 독자는 여기서 책갈피를 다른 데로 넘기길 바란다!). 그렇지만 역설적으로 식인 풍습은 엽기적인 호기심을 자 ...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오랜 옛날, 사람들은 그 붉은 별을 보며 전쟁의 공포를 연상했다. 얼마 전, 사람들은 그 붉은 별을 보며 인류를 잔혹하게 살상하는 외계의 생명체를 연상했다. 2003년 여름을 더욱 뜨겁게 달구어 주는 붉은 별 화성을 찾아보자.2년 2개월 마다 가까워지는 지구와 화성화성은 지구 바로 바깥쪽에 위치해 ...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21세기에 들어와 세계적으로 진공기술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진공기술의 응용분야도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으며 그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하지만 아직도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이 진공기술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 ...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저온생물학에서 동결보존이란 세포나 조직, 기관, 개체를 저온에서 장기간 보관해 가능한 한 원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렇게 동결보존하는 목적은 이를 다시 해동해서 냉동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기술로 냉동보존이 가장 흔하게 이뤄지고 있는 대상은 하 ...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과학동아 l2003년 08호
- 1998년 일본 최대 화장품 회사인 시세이도는 이 업계의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기상천외한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우주왕복선에 장미를 탑승시켜 우주에서 피는 장미의 향기를 포착한다는 내용이다. 그해 우주로 출발한 디스커버리호에는 정말 막 피어나려는 꽃봉오리 두개가 달린 장미 한그루가 동 ...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상호 연관된 생명현상 규명에 분석적인 연구방법을 통합적으로 접목시켜 질병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낼 생각입니다.”지난 4월 ‘과학의 달’ 제1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서울대 약학과 김규원 교수(51)는 자신의 연구를 이렇게 요약했다.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