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염색되지 않느냐에 따라 그람양성(+)군과 그람음성(-)군으로 나뉘어진다. 이 분류는
단지
염색법에 의한 것이지만 항생제에 항균작용(抗菌作用)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람양성균에는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균 디프테리아균 등이 포함되며, 그람음성균에는 임균 수막염균 대장균 변형균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불렀었다. "그가 누구인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없다. 무엇을 하고 있는 지도 모르는데,
단지
사람들은 그를 '무릎 꿇은 사람'으로 부른다." 이것은 기원전 3세기경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시인이었던 아라토스가 이 별자리에 대해 한 말이다.헤르쿨레스자리가 고대 그리스 인들에게 익명으로 남아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나와있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를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와 함께 무게가
단지
2.7㎏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어 요즘 노트북이라면 으레 다이나북을 거론할 정도로 명성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2.7㎏의 무게라고 한다면 대학교재 2,3권 정도의 무게밖에 되지 않는다.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0월9일 대덕연구
단지
내에 새로 문을 연 국립중앙과학관이 상시(常時)과학행사를 꾸준히 개최해 지역주민의 살아있는 과학교실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간 국립과학관이 심혈을 기울인 행사는 주말을 이용한 과학강연회와 주부 컴퓨터교실.지난 1월부터 매주 토(혹은 일)요일 오후에 실시해 온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구상도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이는 공장의 과밀화와 공해방지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공업
단지
를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으로 이전시키고 수로나 터널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거대한 콤비나트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1975년 오키나와 해양박람회에서 전시됐던 해양도시 '애쿼폴리스'(Aquapolis)는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강할 뿐아니라 낮은 전력소모와 빠른 억세스(access)타임으로 노트북에 매우 적합하다.
단지
데이터밀도가 낮고 가격이 비싸다는 점 때문에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확장팩노트북의 뒷면에는 배터리외에도 모뎀이나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가진 팩(pack)을 연결할 수 있는 슬롯(slot)이 있다.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말못할 사정은 있다. 금년 입시의 「태풍의 핵」충남 대덕연구
단지
내에 있는 KAIST에는 학사 석사 박사과정이 설치돼 있다. 2년전까지 KAIST 학사과정은 과학기술대학이라는 독립대학이었으나 지금은 KAIST에 통합돼 있다. 통폐합 당시 이런저런 잡음이 있었지만 이제는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다. 그러나 북극성은 제일 밝은 별도 아니며 그저 평범한 노란색 별(F형)일 뿐이다.
단지
북극성이 중요한 이유는 이 별이 북쪽에 위치(천구의 북극에서 대략 0.5˚ 떨어져 있다)하고 있으며 모든 별의 운동에서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북두칠성의 일곱 개 별 중 북극성을 가리키는 '지극성'(Pointers)은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빌려온 책들이었을 것이다.사실 그의 신분을 엿보게 하는 자료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단지
몇가지 문헌을 통해 유추해 볼 도리밖에 없다. 김정호가 평민출신이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는 이향견문록과 대동방여도 서문. 전자의 책은 하류층의 글을 싣고 있으므로 이 책에 수록돼 있다는 것 자체가 그의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연륜이 있는 4,50대 장년층을 연상하기 쉽지만 주인공은 20대 청년이다. 럭키금성 안양연구
단지
내의 금성전선연구소 광시스템실 연구원인 이혁기씨(26)는 천체사진에 관한 한 남에게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중학교 3학년 때부터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기 시작한 이씨는 8년여 동안 현재 1만컷이 넘는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