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d라이브러리
"
문화과학
"(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학부 때부터의 연구와 세미나 참여를 통해 분자생물학에서 최근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파악하고 공부할 수 있었다.내가 과학에 관심을 가진 것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다. 혼자서 방안에 조그마한 실험실을 차려놓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해부 해보기도 하고 라디오 경보기 무전기 등의 부품을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구의 역사중에 딱 한번 무생물로부터 생명체가 탄생해 오늘에 이르렀으나 현재의 지구환경에서는 더이상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오늘날 지구상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이나 식물 따위 생물은 모두 어버이들의 생식을 통해서 탄생한 것임을 우리들은 잘 알고 있다. 이것은 마치 우리들이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북민간교류협력 허가 이후 활기를 띠고 있는 과학기술계의 남북교류. 실제 접촉은 정부 차원의 제안에서보다는 전문학자들의 모임에서부터 이뤄지고 있다.1990년 9월북경. 곧 11회 아시안게임이 열릴 이곳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도핑컨트롤센터의 책임자인 박종세박사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지방분산을 재촉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보화의 지역격차로 인해 대도시로의 역류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데…요즈음 '정보화''정보시대''정보사회' 등의 단어를 주위에서 흔히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인 정보화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뇌가 발달하고 엄지손가락이 다른 손가락과 닿을 수 있게 되면서 인간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23년 전 경기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을 때의 일이다. 한 졸업생이 소포와 편지 한 통을 보내왔다."선생님의 좋은 가르침을 받고 좋은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러나 선생님, 라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DB이용자와 국내제작 DB가 꾸준히 늘고 있으나 통신개방이후 아직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해외 DB업체들의 태도에 따라 국내 DB산업의 향방은 크게 달라질 듯 하다.일본 종합상사들이 빠르고 정확한 정보망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얘기다. 세계 각국으로부터 주요 정치인의 동정, 대규모 공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필자가 뉴욕의 한복판 맨하탄에 위치한 컬럼비아(Columbia)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하기 시작한지도 벌써 2년 반이 다 되어간다. 한국에서 대학원을 마친 후 내 앞에는 몇가지의 진로가 놓여 있었다. 취직을 할 것이냐, 아니면 더 공부를 할 것이냐. 또 계속해서 공부를 하기로 한다면 한국에서 박사과정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분단으로 '반쪽' 이해를 면치 못하는 한반도의 생태계 연구. 구멍난 지식을 메우고 사라져 가는 희귀 생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료교환 공동조사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1990년은 '남북통일'의 열풍이 몰아친 한 해였다. 세차례에 걸친 남북총리회담, 통일음악제 개최, 남북 축구경기의 서울·평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가 나오기 전까지 세계최고로 평가되었던 지도를 조선초기의 학자들이 제작했다.서유럽과 아프리카대륙의 존재를 한국인은 언제부터 알았을까. 사람들은 흔히 1603년에 이광정(李光庭)이 중국에서 가져온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1602년 세계지도를 보고 나서부터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요즘 가장 잘 팔리는 비디오의 리모콘 버튼수는 보통 40~50개. 그러나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십여가지 이상되는 서비스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디오 기능 중 어느 정도를 활용하고 계십니까"라고 물으면 "글쎄요. 아마 반정도도 쓰고 있지 못 할걸요"라고 대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