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d라이브러리
"
이중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불운을 맞는다. 버슨이 심장병으로 갑자기 사망한 것이다. 버슨의 죽음은 로잘린에게
이중
의 타격을 안겨 주었다. 그녀는 연구실의 단짝을 잃었을 뿐 아니라 RIA 발명의 공로로 탈뻔 했던 노벨상의 기회를 놓치고만 것이다. 그런데 노벨상은 죽은 뒤에는 수여하지 않으며 함께 일하던 팀의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촉새 등 통과새가 이 지역에서 번식하고 있어 북방분자가 설악산에까지 남하하고 있다.
이중
크낙새는 일본의 쓰시마(對馬島)와 우리나라에 한하여 국한 분포되었으나 쓰시마에서는 절종된 세계적인 희귀종이다. 1950년대에는 경기도 광릉과 충북 속리산에서 관찰되었으나 1960년대에는 광릉과 ... ...
PART 3 생명의 시작은 물에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언제나 있다.수초후에 또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새로운 물의 분자로 대치되고 있다.
이중
에서 1일 약 2.4ℓ는 체외로 배출되고 있다. 누선은 염분이 많은 분비액인 눈물을 만들어 극히 소량이긴 하나 끊임없이 유출되어 눈을 윤활하게 만들고 세정하고 있다. 땀샘은 0.5ℓ의 증발을 통해 피부를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86년까지 2천3백1억원이 연구비로 지원됐다. 금년도 특정연구개발사업비는 6백30억원.
이중
정부 출연분은 5백30억원이다. 한편 이 사업의 연구기관별 연구비 배분현황을 보면 정부출연연구소가 93%라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실 특정연구개발사업은 이들 연구소 연구비의 60% 이상을 ... ...
디자이너로서의 생물학 창조의 제8일은 시작되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자를 수 있게 되었다.●분자 접착제인 연결효소의 도움으로 우리는 분리된 2개의 DNA
이중
나선을 다시 용접할 수 있게 되었다.●박테리아에서 얻은 원형 DNA 즉 플라즈미드로 우리는 유전자 도서관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플라즈미드속에서 임의의 성질(혈통)을 지닌 DNA조각이 짜맞추어지게 ... ...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점은 무엇이었읍니까? "전도성 고분자물질은 일반적으로 불안정해 쉽게 분해됩니다.
이중
결합이 많이 산화에 약하기 때문이지요. 이 문제는 안정한 헤테로계 고분자를 찾아냄으로써 해결됐읍니다. 또 하나 연구대상이 고분자와 전기화학을 포괄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읍니다. 전기화학쪽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하나 하나에는 이런 불록을 30억 개나 갖고 있는데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해독' 한것은
이중
에서 불과 5백만개 뿐이다. 이것을 모두 해독하자면 50억달러의 돈과 수십년의 세월이 걸릴것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그러자 길버트는 3억달러의 비용을 갖고 10년내에는 모두 해치우겠다고 생각하고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물의 소비량(이는 총물수요량을 인구수로 나눈양 임)은 약 7천 5백ℓ에 달하고 있으며
이중
약 6천 5백ℓ가 농업 또는 공업용이다. 우리나라는 약 4천ℓ이며 약 3천ℓ가 농업 및 공업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용 수자원은 연간 약 2백억㎥로 제한되어 있으며 그 사용량은 급격한 증가추세에 ... ...
신약자체개발을 목표 동아제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수행한 연구실적을 보면 77년 설립 이후 최근까지의 신제품개발이 75건인데
이중
23건이 연구소자체개발품목이다. 즉 그동안의 신제품개발에 31%의 기여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특히 83~85년에는 34개 품목의 신제품개발중 12개를 자체개발에 35%의 기여율을 보였다. 회사측은 자체개발비율을 계속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풍력으로 전환시켜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장치, 3백60˚회전선풍기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중
일부는 실용화되어 있으며 특히 태양열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발명품은 농어촌개발공사와 공동개발을 의뢰해놓고 있다. “국제대회에 나가게 되면 공과대학 교수를 비롯 학계에서 발명품을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