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근시에 걸릴 가능성이 2%나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어.비법2 책은 적당한 밝기에서 눈과
일정
거리를 두자!실내에서는 적당한 밝기에서 활동해야 해. 또 책은 눕거나 엎드리지 말고 바른 자세로 읽어야 하지. 책과 30~40cm 떨어지는 건 필수야. 그림자가 생기거나 어둡다면 책상에 간접 조명장치를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나의 비율로 그려집니다. 여기서 잠깐! 오늘의 정답은 원 둘레를 지름으로 나눈
일정
한 비율, ‘원주율’입니다!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나일 강의 홍수 덕분에 기하학 공부를 열심히 해야 했어요. 홍수로 인해 각자 소유한 땅의 경계선이 자주 없어졌거든요. 그래서 이집트 ... ...
칩 안의 약국, 몸 속에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막이 녹으면서 약물이 빠져나온다. 시간을 지정하면 일일이 조종하지 않아도 약물이
일정
한 시간에 빠져나온다.연구팀은 골다공증이 있는 65~70세 여성 7명의 몸 속에 생체칩을 넣었다. 그들은 골다공증치료제 테리파라티드 주사를 2년 동안 매일 맞았다. 육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아주 힘들기 때문에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원전이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 비해 장점으로 내세우는 “기저전력화(언제나
일정
한 전기를 생산함)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가능했다.하지만 대형 원전은 한계가 많다. 우선 작은 나라나 도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많다. 입지도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 많이 ... ...
프로젝트를 ‘장악’하는 힘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표는 허술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표는 점점 정교해졌고 의견을 조율하고
일정
을 관리하는 능력도 한 뼘씩 자랐다. 교수님은 ‘프로젝트를 장악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하신다. 직접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꾸중을 많이 들었지만 ‘어떻게’ 프로젝트를 장악해야 하는지 조금은 알 것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특정 단백질(폴리펩타이드)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NA 상의
일정
부위라고 볼 수 있다. 중심 원리(central dogma)에 따라 유전자, 즉 DNA에 저장된 정보는 먼저 전사 과정을 통해 mRNA로 전달된다. mRNA로 전달된 정보는 번역 과정을 통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이렇게 유전자에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감마선폭발의 세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상승 곡선이 같다면 감마선폭발의 세기도
일정
한 것이고 따라서 표준촛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유포 패스파인더는 스위프트보다 망원경의 성능은 떨어진다(스위프트의 구경은 30cm). 하지만 회전반사경의 도입으로 초기광의 데이터를 얻을 수 ... ...
정답이 하나뿐인 스도쿠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7개는 돼야 한다는 것이다.스도쿠는 3×3 정사각형을 가로세로에 각각 3개씩 배열한 81칸에
일정
한 규칙에 따라 숫자를 써 넣는 퍼즐이다. 미리 공개된 20~24칸의 숫자를 기준으로, 나머지 빈 칸에 1부터 9까지 숫자가 겹치지 않도록 써 넣으면 된다. 이 때 먼저 공개된 숫자의 개수가 난이도를 결정한다.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받습니다. 날갯짓을 해서 속력을 내면 날개에서 몸무게 정도의 양력을 만들 수 있답니다.
일정
한 높이로 날아가는 새는 중력과 양력의 크기가 같은 상태입니다. 즉 수직 방향으로는 힘의 평형상태죠. 한쪽 날개는 새의 몸무게 반 정도의 양력을 지탱해야 합니다. 그럼 이제 사람을 봅시다. 사람도 한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끝이 뾰족한 아치를 만들 수 있게 되면서, 출입문의 폭과는 상관없이 아치의 높이를
일정
하게 맞추는 건축물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하늘을 찌를 듯한 첨탑과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 부벽으로 대표되는 고딕양식은 이탈리아에서는 별로 환영받지 못했다. 이탈리아는 인간을 중심으로 여기는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