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홀로그램 유기물로는 포토폴리머나광굴절 고분자, 광변색 고분자가 있다. 홀로그램
저장
매체는 쉽게 복사가 어렵다는 점에서 차세대 보안 문서 기록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당시 애틀랜틱 리치필드라는 석유탐사회사는 이스트런드 박사에게 알래스카에
저장
된 엄청난 양의 천연가스를 이용할 방법을 찾아달라고 요청했다. 이 천연가스는 에너지로 환산하면 값이 약 3×1021J로, 에너지 소비가 가장 심한 나라인 미국이 10년 넘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양이다 ... ...
저작권 지키는 숨은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원하는 시간에 방송이 나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워터마크에 실시간의 정보를
저장
했기 때문이다. 또한 방송국에서도 워터마크가 삽입된 광고를 내보면 자신들이 광고주가 원하는 시간에 방송을 했다는 ‘디지털 증거’를 남길 수 있다. 이렇듯 워터마킹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본구조는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가 감겨있는 구슬 모양의 구조(염색질)다. DNA에
저장
돼 있는 유전정보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이렇게 감겨있는 DNA에 유전자 발현을 시작시키는 단백질(전사단백질)이 접근해야 한다. 그런스타인 박사에 따르면, 아세틸기는 전사단백질이 염색질에 쉽게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속에서 아름다운 소리를 내며 울려퍼진다.올은 이렇게 담은 다양한 소리를 차곡차곡
저장
해 자신이 작곡한 곡에 활용한다. 마치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할 수 있는 색을 담은 팔레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셈이다.현장에서 채집된 다양한 자연의 소리들은 컴퓨터로 처리된다. 마이크로폰이 음파를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다.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먹거리가 풍부할 때 체지방을 몸에
저장
한다. 그런데 지방층은 체열의 발산을 막는다. 따라서 열이 많이 나는 내장이나 근육을 지방층이 덮게 되면 더위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체열의 발산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엉덩이로 지방층이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연락이 두절될 경우는 특히 문제다. 현재는 시험관아기 시술병원의 냉동시설에 모두
저장
돼 있으나 동결보존의 역사가 20년이 넘어가면서 냉동배아의 보관연도 제한이나 폐기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냉동배아의 이런 문제는 자연스럽게 생명윤리 논쟁과도 직결된다. 독일의 경우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식품
저장
에 이용한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목적에 따라 저선량조사 · 중선량조사 · 고선량조사로 나눈다방사선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생명현상을 해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과 이런 방사선은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크라이티요 스팬 등 수십여개의 냉동전문회사의 지하 냉장고에 영하 1백96℃로
저장
돼 있다. 이들 대부분은 암 등의 불치병을 앓다가 치료법을 찾지 못해 죽은 뒤 냉동한 시신들이다. 그렇다면 미래에 불치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된 뒤 깨어나기를 바라는 이들의 꿈은 이뤄질 수 있을까.최근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지증왕 시절인 505년에 음식물을
저장
했던 석빙실의 유적이 현재 경주에 남아 있다.하지만 인류가 본격적으로 냉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기계적 힘을 이용한 인위적 냉동기가 개발되면서부터다. 19세기 중반 페르디나드 까렝은 인류 최초로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