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특히 성종 21년(1490년) 의 기록에는 혜성을 패성(星)과 요성(妖星)으로 구분하는 방법과, 초신성을 뜻하는 객성(客星)을 알아보는 방법 등도 남아 있다.물론 이 모든 업적이 김담 혼자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김담의 멘토였던 이순지와, 정밀한 관측기구를 만들었던 장영실, 이천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바꿀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이었다.이러한 믿음은 이미 19세기 초부터 퍼지기 시작했다. 1833년에 영국 과학진흥협회에서 ‘과학자(scientist)’라는 말을 처음 제안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윌리엄 휴얼과 그의 세 친구 찰스 배비지, 존 허셸, 리처드 존스는 케임브리지대에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민 교수는 “유로6를 만족하는 디젤차도 여러 가지 후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2000년대 초에 출시된 디젤차(유로3)보다 질소산화물은 84%, 미세먼지는 91%까지 정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후처리 장치를 달았을 때 상승하는 비용과 연비 손해는 디젤차가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다. 한 예로 유로5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화 ‘엘리시움’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했던 ‘빛진단치료’가 가능해진다. 현재 초음파 의술은 해상도와 대조도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어 암 진단에 한계가 있을뿐더러 치료는 아예 불가능하다. 같은 이유로 음파를 이용한 수중물체 식별도 제한적이다. 최근 북한 잠수함 50여 대가 사라졌을 때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같다.백열전구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를 2W, 파장을 500nm정도로 어림해서 계산하면, 1초마다 나오는 빛알의 수는 무려 1032개가 넘는다. 빛을 띄엄띄엄한 입자모임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운 이유다.CRACKS띄엄띄엄 드러난 균열당시는 광전효과뿐만 아니라 고전물리학의 균열도 띄엄띄엄 드러나던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생긴다. 그런데 지난 해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4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를 보면, 초·중·고등학생의 약 15%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비만은 당뇨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특히 소아청소년들의 비만은 어른이 돼서도 계속 이어질 수 있어 더욱 ... ...
- [Photo] 옐로나이프를 감싼 ‘천상의 커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오로라의 계절이다.오로라는 보통 9월 초부터 이듬해 4월까지 볼 수 있는데 특히 맑고 캄캄한 밤하늘에서 잘 보인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하전입자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다. 따라서 지구 자극과 인접한 위도 60°~80° 지역에서 주로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둘까. 그게 오히려 나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앞서 본 SIV의 사례처럼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일이 우리 면역계에는 종종 있다. 사스, 인플루엔자 A, 에볼라등에 감염됐을 때 인간의 면역계는 다량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등을 내보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터트리거나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3kg 이상의 무게를 가진 포유류는 몸집과 관계없이 방광 속 소변을 배출하는 데 21(±13)초가 걸린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 아틀란타 동물원에서 코끼리, 말, 소, 강아지, 박쥐, 생쥐 등의 소변활동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다(사진➋).화학상 : 호주 플린더즈대 콜린 래스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조합해 실제값에 가까이 다가가는 알고리즘이다. 선수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0.1초 뒤 위치를 예측하고, 그 예측된 범위 안에서 선수를 찾아 측정된 위치를 계산에 다시 반영하는 식이다. 칼만 필터로도 놓친 선수는 분석가가 직접 수작업으로 보정한다.좋은 소프트웨어는 승리의 열쇠선수 외에도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