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안녕하세요! 2021년 우주 날씨를 소개하는 이재형 과학동아천문대장입니다. 신나는 설날이 있는 2월의 우주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매 ... 일 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떴어도 다음 해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올해의 가장 큰 보름달은 정월 대보름이 아닌 4월 27일에 볼 수 있답니다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구글의 자율주행차보다 얼마나 뛰어날 지보다 애플카가 우리를 얼마나 매료시킬지에 더 큰 기대를 걸고 있다. 2000년대 후반 뒤늦게 나타난 아이폰이 스마트폰 열풍을 주도하며 세상을 완전히 바꿔놨듯, 애플카가 또 한 번의 혁신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심해에 저장돼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이산화탄소가 일시에 배출되면 큰 위기가 닥칠 수 있다. 심해 해류에 교란이 생기며 전 지구적인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해류 변화의 가장 가능성 높은 원인은 극지방에서 빙하가 녹으면서 바다의 염도를 낮추는 현상이 꼽힌다. 하지만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대학원의 가장 큰 성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박 교수는 “무엇보다 가장 큰 성과는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좋은 인재를 길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원 구성원들은 세월호 참사 선체조사위원회 종합보고서에 참여하고, 2016년 대통령 선거 당시 대선 주자들의 과학기술정책을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0.85m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방식이에요. 일본에서 많이 쓰는 다다미 바닥의 특성을 고려해 큰 충격력(약 4500N*)을 내도록 설계됐지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바닥 구조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력이 너무 크고 실제 어린이들 뛰는 발소리와도 차이가 크지요. 대안으로 나온 방법이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제가 개선 작업을 도운 서울동물원은 2019년 AZA 인증을 받았죠. 서울동물원의 가장 큰 문제는 ‘내실’이었어요. ‘내실’은 동물사에서 전시되지 않는 실내방이에요. 사자처럼 추위에 약한 동물은 겨울에 내실에서 지내죠. AZA는 사자처럼 한 달 이상 내실에서 지내는 동물이라면, 내실에도 풍부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돈다는 천동설 대신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움직인다는 지동설을 주장하며 인류 역사의 큰 변화를 이끌었던 두 학자는 우연히도 둘 다 2월에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갈릴레이는 2월 15일, 코페르니쿠스는 2월 19일이 생일입니다.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의 주장을 뒷받침해 지구 등의 천체가 ... ...
- [과학뉴스] 이 뱀이 나무를 오르는 비법 ‘셀프 올가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초속 0.4cm로 매우 느리고 중간에 자주 멈췄지만,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지름이 두 배 이상 큰 원통까지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인 교수는 40년간 뱀의 이동방식을 연구했지만 이번 발견은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며 다른 새로운 방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까지 점쳤다. doi: 10.1016/j.cub.2020.11.05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대조군에 비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마의 여러 세부 부위 중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크기가 줄어든 곳은 해마로 향하는 정보가 거치는 통로인 치상회(7.2%)였다. 회백질의 부피도 뇌 전체에 걸쳐 줄었는데, 왼쪽 해마곁이랑 부분 회백질이 3.8%, 오른쪽 배측면 전전두엽 회백질이 3.3%, 왼쪽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마약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강력한 진통제로도 사용된다. 암 수술과 같이 큰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마지막 수단으로 모르핀을 투여하기도 한다.캐나다 캘거리대 연구팀은 양귀비 2만 3000여 종을 분석해 양귀비 식물에서 모르핀 성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