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스페셜
"
나
"(으)로 총 1,7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논문 ‘사회 비용의 문제’는 이 연구를 발전시킨 내용이다. 논문에서 코스는 정부의 지
나
친 간섭과 규제보다는 당사자들 사이의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1990년 미국 정부는 업체에 이산화황 1킬로그램당 1달러의 세금을 물리는 기존 정책대신 배출권거래제 프로그램을 운영한 ... ...
과학을 알면 스키 더 잘 탈 수 있다!
KISTI
l
2013.12.19
물 덕분이라면서요.” “하긴, 그렇게 되는구
나
.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스키 과학 딱 하
나
만 더 알고 가자. 스키는 상당히 위험한 운동이야. 경사면을 고속으로 쌩쌩 달려 내려오다 넘어지면 크게 다칠 수도 있거든. 물론 다치지 않게 ‘잘’ 넘어지는 강습을 받기도 하지만 기왕이면 넘어지지 않는 ... ...
‘노후 준비 안 됐는데…’ 어떻게 해야 하
나
?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9
코앞인데 막상 돈이 모이지 않았다면 자산 포트폴리오를 주식에 맞추고 퇴직연금이 얼마
나
될지 미리 알아두자. 의료보험혜택이 적용되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행복 동감 11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채널A]자고 일어
나
니 ‘찌뿌둥’…가전기기 저주파 소음 심각
채널A
l
2013.12.17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저주파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집중력을 떨어뜨리거
나
두통, 불안감을 일으키고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해 심한 경우엔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에는 저주파 소음을 규제할 뚜렷한 기준조차 없어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세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정보를 주고받는 채널이 다양해지고 인터넷 페이지
나
SNS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감시해야 할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제는 도청 자체보다는 수많은 정보 중에서 쓸모 있는 것들을 골라내는 기술이 ... ...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환경오염으로 수난을 당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서식지가 점차 준다거
나
, 뇌에서 환경오염물질이 검출되는 등의 뉴스를 보니 북극도 더 이상 환경오염의 안전지대가 아닌 모양이다. 녹아버린 유빙에 간신히 발을 붙이고 서 있는 북극곰의 모습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이었다. 일제가 경복궁을 훼손하면서 오쿠라가 자선당을 그대로 분해해서 들여오고
나
서, 자신의 호텔 경내에 옮겨 놓은 것이다. 라이트는 자서전에서 자선당에 들어왔을 때 ‘기후가 바뀌었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는 분명히 실내 전체가 따뜻한데도 난방장치는 보이지 않는다는 데 놀랐다.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것보다는 손잡이
나
책상 등 물체 표면에 묻어 있는 바이러스 입자가 손을 통해 입이
나
눈으로 들어가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외출하고 들어와서는 꼭 손을 닦아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쓸데없이 얼굴에 손을 갖다 대는 버릇은 고치는 게 낫다. 한편 리노바이러스의 최적 증식 온도는 32도 ... ...
[웹툰] 문자녀
KOITA
l
2013.11.06
선배가 되려고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대학원 생활의 둥지를 틀 수 있게 해주신 큰
나
무와 같은 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3년 동안 정말 여쭈어 보고 싶은게 있는데... "교수님, 왜 한 달 동안 문자를 보관하고 계셨던 거예요?" (교수님 사랑합니다^^♡) * 본 콘텐츠는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습관이라는 핵심을 제대로 짚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소셜미디어의 본질은 새로운 기술이
나
네트워크 구조 따위가 아니다. 그저 누군가에게 말을 하고 있다는 느낌, 지인들과 감정과 생각을 공유한다는 느낌이야말로 사람들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유다. 이러한 느낌은 굳이 배울 필요도,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