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스페셜
"
발전
"(으)로 총 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
과학동아
l
2018.04.29
모아 머리를 맞댔다. 화해모드에 들어선 남북이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과학동아 5월호에서는 그 중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은 ▲광물자원 개발 ▲백두산 연구 ▲재난 대응 ▲식량 안보 ▲전통 의학 분야 협력 방안을 살펴봤다. [남북 과학기술 협력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
2018.04.28
반면, 임진강의 상류를 점하고 있는 북한은 10여 개의 크고 작은 댐을 만들어 전력
발전
에 활용하고 있다. KISTI는 향후 이 시스템을 자연재해 예측 시스템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 센터장은 “자연 재해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발생 시기와 규모를 미리 안다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04.27
모아 머리를 맞댔다. 화해모드에 들어선 남북이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
할 수 있는 분야를 도출하기 위해서다. 이번 과학동아 5월호 시사기획에서는 4·27 남북정상회담을 맞아 분주한 남북 과학기술계의 움직임을 다뤘다. 그 중 ▲광물자원 개발 ▲백두산 연구 ▲재난 대응 ▲식량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모아 머리를 맞댔다. 화해모드에 들어선 남북이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과학동아 5월호에서는 그 중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은 ▲광물자원 개발 ▲백두산 연구 ▲재난 대응 ▲식량 안보 ▲전통 의학 분야 협력 방안을 살펴봤다. 북한을 포함한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모아 머리를 맞댔다. 화해모드에 들어선 남북이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과학동아 5월호에서는 그 중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은 ▲광물자원 개발 ▲백두산 연구 ▲재난 대응 ▲식량 안보 ▲전통 의학 분야 협력 방안을 살펴봤다. [남북 과학기술 협력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발표한 이후로 답보 상태였다. 그는 우주론과 중력이론이 등한시되지만
발전
할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했다. 1960년대 초 우주론의 가장 큰 질문은 ‘우주의 시초가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우주의 시초가 있다는 데 동의하지 않았다.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끊임없이 새로운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18.03.31
만든 청동은 구리에 비해 더 단단하다. 인류는 청동으로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문명을
발전
시켰다. 보다 ‘쓸모 있는’ 합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전통 합금이 아닌 새로운 ‘고엔트로피 합금(High Entropy Alloy, HEA)’이다. 전통적인 합금은 청동의 구리처럼 구성하는 금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옛날에는 진피를 도려내지 않는 이상 문신을 없애지 못했다. 피부과 레이저 기술이
발전
하면서 문신에 물든 진피에 레이저 펄스를 쏘아 진피세포를 터뜨리고 문신 안료도 잘게 쪼갤 수 있게 됐다. 안료 파편은 진피를 떠다니다 인근 림프관에 쓸려 들어가 배출된다. 이 과정으로 한 번에 문신을 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기술을 이용해 면역항암제 효율을 높일 방안을 다양하게 찾는 이유다. 나아가 기술
발전
으로 갈수록 간편해지는 유전체 분석 등을 이용해 환자 개개인의 암세포와 면역체계 특성을 고려한 개인 맞춤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초고밀도 배터리가 들어있다는데 한 번 충전에 20시간 가까이 쓰는 것 같다. 정말 놀라운
발전
이다. 며칠에 한 번 충전을 할 때면 자판 아래 배터리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상상해본다. 어댑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전압이 걸리면 양극에 결합돼 있던 리튬이온이 떨어져 나와 전해질로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