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4,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어. ‘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치고, 화재 경보기를 눌러서
주변
사람들에게 불이 난 것을 알려야 해. 그리고 119에 신고를 한 다음에 소화기로 불을 끄는 거야.그런데 막상 불이 나면 당황해서 소화기의 사용법을 잊기 쉬워. 그러니 평소에 미리 익혀 두는 것이 좋아. 안전핀을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12
땔감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인간의 탐욕의 끝은 과연 어디까지일까.세종과학기지
주변
에서는 ‘도둑갈매기’ 스쿠아(Stercorarius parasiticus)도 볼 수 있다. 스쿠아는 오리보다 조금 큰 새로 발에는 물갈퀴가 있고 부리는 매와 닮았다.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데다 공격적이어서 이곳 육상 먹이사슬에서는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12
발사 직전 갑자기 엔진이 꺼지면서 모든 동작이 멈췄다. 엔진에서 산소가 새어나와
주변
기기에 불이 붙었다. 다행히 두 달 뒤인 8월 30일 비행에 성공해 27년 째큰 탈 없이 현장에서 뛰고 있다. 하지만 만약 그때 불이 전체로 옮겨 붙었다면 처녀비행에서 뜨지도 못하고 폭발하는 불운의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12
바로 장난감을 만든다. 나노 장난감 제조기는 굴뚝 안의 검댕이나 먼지, 눈 같은
주변
의 분자를 이용해 장난감을 스스로 만들어낸다. 바로 우리 몸 안에서 유기물질이 DNA 정보를 통해 스스로 알아서 장기와 조직을 만들어내듯이 말이다. 몬의 생각도 비슷하다. 산타가 현재 과학자들보다 훨씬 앞선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12
답답함을 느끼는 K학생에게 선생님은 단점도 장점으로 바꿔보라는 충고를 했다. “집
주변
에서 생태연구소를 찾아봐. 그곳에서 민물고기나 물에 대해 연구하는 걸 견학해보면 어떨까. 연구에 참여해 나중에 탐구대회에서 관련 주제로 발표를 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그리고 봉사활동으로 생태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12
고집이 세진다고 하지만 난 젊어서부터 내 주장을 쉽게 굽히지 않았지. 그래서인지 내
주변
엔 친구나 함께 연구하려는 사람이 없었네. 내가 택한 길이지만 외로웠던 건 사실이야. 이제 와 드는 생각이지만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듣고 많은 연구를 함께할 수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 난 이미 고집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12
헤드폰처럼 생긴 이 장치는 머리에 쓰기만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주변
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면 두뇌의 활동을 수시로 감지하는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귀일 연구원(박사과정)은 “현재는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12
의미는 전혀 다르다. 나이가 들수록 과거의 중요성을 느끼게 된다는 뜻이다. 사실 우리
주변
에서도 이 같은 이야기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나이 든 사람 얘기 들어서 틀릴 것이 없다’는 얘기부터 ‘나중에 알게 된다’는 조언까지도 모두 같은 뜻을 담고 있다. 모든 사람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12
수술하고 싶다는 환자의 생각을 돌려놓는 데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변
사람들이 ‘고칠 필요 없다’고 말해도 수술을 고집했던 사람들조차 본인 얼굴이 미의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수치로 확인하면 욕심을 버렸다. 하지만 이 교수는 “이 프로그램의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12
속력으로 연속해서 25일 이상 약 7400km 거리를 항해할 수 있다. 위험기상 현상을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장기간 연속 관측할 수 있고, 필요할 때는 북서태평양 해역까지 이동해 특별관측을 할 수 있다. 기상1호가 1년 중 바다 위에 떠 있는 시간은 200일 정도. 그래서 기상1호의 또 다른 별명은 ‘바다 위의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