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d라이브러리
"
짧은시간
"(으)로 총 1,69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8607
리모트 센싱(원격탐사)의 원리와 실제리모트 센싱이란?앞서 살펴본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떤 원리와 과정을 거쳐서 얻어졌을까? 이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 원격탐사)이다. 현대과학이 연출하는 기적의 눈(眼)은 어떤 것인지 알아 보자.최근 자원의 유효한 이용이나 환경 보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06
체르노빌 사고가 아니라도 우리 주변에는 자연적 인공적 방사선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많은 과학자들은 방사선이 장기적으로 인류의 유전적 퇴화를 일으킨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방사성 물질이란 무엇이며 어떤 경로를 통해 우리몸에 들어가 무슨 피해를 주는지 알아본다.방사선의 최초의 희생자 ... ...
사무자동화의 최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8606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와 각종 단말기를 연결시켜주는 고속 전송로인 LAN은 사무자동화, 공장자동화 및 퍼스널컴퓨터의 효율적 활용에 필수적인 통신망이다.LAN(Local Area Network)이란 지역 통신망 혹은 구내 통신망으로 불리운다. 주로 정부나 공익성을 지닌 기관에 의해 운영되어 다른 나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06
원자력 발전소에서 최악의 사고라고 일컬어지는 '멜트 다운'이 체르노빌에서 일어났다. 전세계를 죽음의 재 공포에 빠뜨리고 원자력 산업계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게 한 체르노빌 사고의 베일을 벗긴다.지난 4월 26일 새벽, 소련의 대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에프'는 흑해에서 불어오 ... ...
의학계의 컴퓨터 혁명
과학동아
l
198605
컴퓨터와 전자공학의 발달은 의학계를 새로이 변모시키고 있다. 인체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단면을 자유롭게 볼 수 있는가 하면 고에너지 충격파로 신장결석을 분쇄한다. 국내에서도 개발된 최첨단의 NMR-CT를 비롯하여, 유능한 간호원 보다 더 자상하게 중환자를 돌볼 수 있는 컴퓨터 환자감시장 ... ...
지상 최대의 초전도 입자가속기 제작
과학동아
l
198605
미국 '페르미'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지상 최대의 새로운 입자가속기의 모델실험이 완료되었다. '테바트론'이라는 이름의 이 모델은 실제의 20분의1 에너지 수준인데 오는 95년 가속기가 완성되면 현재 가장 강력한 '바타비아' 가속기 보다 20배 이상 큰 출력을 낼 것이다. 완성될 입자 가속기의 명 ... ...
태양에너지 바닥나지 않는 자연의 선물
과학동아
l
198605
인간이 이용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근본적으로 태양에너지이다. 매년 5백조 배럴의 석유에 상당하는 에너지로 지구를 덥히는 태양에너지.그 활용 방법을 알아본다.지구상의 최대 에너지원1970년대 에너지 위기를 겪으면서 많은 사람들은 태양도 중요한 에너지원 또는 적어도 보충 에너지원이 될 ... ...
음성인식시스템 말을 알아 듣는 컴퓨터가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05
키보드를 두드리지 않고 직접 말을 해 컴퓨터를 부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음성은 인간과 인간사이의 가장 자연스러운 통신수단이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멀리 떨어져 있는 두지점 사이를 효과적으로 음성통신 할 수 있는냐가 전화기 발명된 이래 인간의 가장 주된 관심사로 연구되고 있다. 이 ... ...
평범해지고 싶어하는 수재들
과학동아
l
198605
한국과학기술대학이 개교한지 2달이 지났다. 영재들로 뽑힌 이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공부하며 무엇을 느끼고 있을까.영재교육기관으로 알려진 한국과학기술대학(KIT : Korea Institute of Technology)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크다. 한국 과학기술의 미래를 짊어질 젊은이들이 집단적으로 교육받는 대학이라 ... ...
자원탐사는 어떻게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05
어떤 종류의 지하자원이 어디에 얼마나 묻혀 있는가를 알아내는 자원탐사의 중요성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오늘날 발단된 탐사기술은 각종의 과학장비를 동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그런가 하면 자원탐사의 일선에서 뛰는 탐사원들은 남모를 수난을 겪기 마련이다. 깊은 산속을 며칠간씩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