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은 변덕쟁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멀리서 봤을 때 전혀 다른 색으로 보이는 현상이에요. 예를 들어 새빨간 매화 꽃이 핀
나무
가 하얀 눈에 덮인 사진(위)을 멀리서 보면 꼭 분홍색처럼 보이지요. 이런 현상을 그림에 응용하면, 여러 가지색을 점을 찍듯이 칠해서 완전히 다른 색을 표현할 수 있어요. 이런 방법을 ‘점묘법’이라고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때의 화가 솔거는 황룡사 벽에 ‘노송도’를 그렸는데, 날아가는 새가 살아 있는
나무
인 줄 알고 앉으려다가 부딪쳐 떨어졌다는 일화가 전해진다.조선시대 여류화가인 신사임당은 과일이나 새를 주로 그렸다. 그의 유명한 작품에는 포도송이가 주렁주렁 달린 ‘묵포도도’와 검은 비단에 색실로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산양은 독초를 빼고 거의 모든 식물을 먹는다. 물론 식물의 씨앗도 포함된다. 원래 헛개
나무
의 씨앗은종피(씨껍질)가 너무 두껍고 단단해 그냥 심으면 거의 발아하지 못한다. 하지만 산양이 먹고 배설물과 함께 배출한 씨앗은 발아가 잘된다. 산양이 씹고 소화를 시키는 과정에서 종피의 두께가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
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한때 살아 있는 황금이라는 뜻으로 ‘생금(生金)’이라 불리며 고부가 가치 재료로 여겨졌던 대
나무
. 하지만 값싼 대체물질과 외국 대
나무
가 들어오면서 ... 있다”고 말했다. 대
나무
로 만든 바이오에탄올이 실용화돼 자동차 배기구에서도 대
나무
향이 솔솔 풍기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 ...
인터뷰 공룡전문가 이융남 박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었어요. 공룡에게는 최고의 환경이죠.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중생대층은 숲과
나무
로 덮여 있고 도시가 발달해 넓은 지층을 볼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요. 그래서 공룡뼈 찾기도 힘들답니다. 공룡 화석을 찾기 위해서는 지층이 넓게 펼쳐져 뼈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 좋거든요. 그래서 몽골의 ... ...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팽창시키거나 수축해 색을 바꾼다. 이 변화무쌍한 몸 색깔 역시 사냥하기에 유리하다.
나무
위에서 살아가는 카멜레온은 나뭇잎과 비슷한 몸 색깔을 만들어 자신의 존재를 숨기고 몸을 좌우로 천천히 흔들며 산들바람에 흔들리는 잎을 흉내 낸다. 각각 따로 노는 눈으로 포착한 먹잇감이 카멜레온을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거처를 빠른 시간 안에 찾아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띠는 것이다. 이상적인 거처는
나무
에 난 구멍이다. 그 안의 공간은 대략 20L의 물이 채워질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또한 벽이 튼튼해야 하고 밖으로 난 구멍은 30cm2를 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땅으로부터 최소 3m 높이에 있어야 하고 구멍은 남쪽을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뭇 조심스러워 보인다. 성 상병은 유골은 하나하나 정성스럽게 한지로 감싸 오동
나무
로 된 소관(小棺)에 입관했다. 행여나 분실될 염려가 있는 발가락뼈는 비닐포장에 넣었다. 한지에 쌓은 유골 위로 빈 명정(銘旌)이 처연히 덮인다. 죽은 이의 이름과 계급을 알길이 없기에 텅 비어 있다.이윽고 ... ...
집짓기 속에 숨겨진 기하학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어요. 크레인에 쓰이는 트러스구조는 처음에 삼각형 모양으로 발명되었답니다. 여기
나무
젓가락을 이용해 만든 삼각형과 사각형이 있어요. 각각의 이음매는 못으로 고정했답니다. 둘 중 어느 것이 더 튼튼할까요? 소망 : 그냥 보기에는 사각형이 더 튼튼해 보이는데요.선생님 : 과연 그럴까요?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부드러운 곡선이다. 여름에 비가 많이 오더라도 빗물을 빠르게 흘려보낼 수 는 구조다.
나무
로 만든 집에 빗물이 스며들어 기둥이 썩거나 약해질 위험을 방지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이 원리는 요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시사철 싱싱한 채소와 맛있는 과일을 먹을 수 있게 된 데는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