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들을 3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똑같이 999가 된다. 142857과 마찬가지로 1과 12, 3과 10, 4와 9를 각각 곱해 3자리씩 끊어 놓은 값이 서로 대칭인 것도 알 수 있다. 게다가 어떤 수를 곱해서 나온 값을 3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역시 999나 999의 배수가 나온다. 1998과 같이 999의 배수가 ...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능력은 뇌의 우반구가, 나무를 보는 능력은 뇌의 좌반구가 담당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마찬가지로 국소적으로 집중된 관심에는 좌반구가, 넓고 전체적이고 유연한 관심에는 우반구가 관여한다. 그래서 무언가를 만들어 내겠다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때는 좌반구가 주로 작용한다. 하지만 ...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건물의 번호가 커지고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도로명 팻말도 마찬가지다. 막 들어선 도로의 도로명 팻말에‘1→100’처럼 작은 숫자부터 적혀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100→1’로 적혀 있다면 서쪽이나 남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도로의 시작 ...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응용과학 분야도 마찬가지죠.”오정근 팀장은 “기존보다 더 빠르면서 정확한 예측 모형이 있으면 미래를 잘 대비할 수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위험도 예측에서는 잘못될 경우 수많은 생명이 위험해져 ... ...
- [수학영재캠프] 가짜 금화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1년 08호
- E)’이 세 가지뿐이다. 이것을 저울의‘대답’이라고 부르자. 두번째 저울질에서도 마찬가지로 세 가지 대답을 얻는다. 그럼 두 번의 저울질로 얻을 수 있는 대답 열의종류는 LL, LE, LR, EL, EE, ER, RL, RE, RR의 3×3=9가지이다. 우리는 우리가 얻은 대답 열만을 바탕으로 어느 금화가 가짜였는지를 결정해야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25은 2×2×2×2×2와 같이 2를 다섯 번 곱했음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20은 2를 0번 곱한 수죠.그런데 2를 한 번도 곱하지않은 값은 얼마일까요? 곱하지않았는데도 값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생각해 볼까요? 수학에서는 규칙이 매우 중요합니다. 곱할 ...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7호
- SF 영화에 등장할 법한 옷을 입고 허리까지 차오른 물속에 서 있다. 하늘과 바다는 옷감과 마찬가지로 회갈색 빛이다. 물과 대기 속의 오염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흡수하며 막아주는 특수 섬유로 제작한 옷일까? 사진작가 메리 매팅리는 ‘세컨드 네이처’라는 연작에서, 문명이 붕괴된 후 ...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적극적으로 지원해볼 만하다. Step2. 심층면접 대비하기 논술고사를 준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심층면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비한다(). 노력만이 수시를 유리하게 만든다 이처럼 수시는 현재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이상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이자, 수능 ...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기어 다니는 개미는 3차원 공간을 비행하는 우주선이나 태양의 존재를 상상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3차원에 사는 인간은 우주 너머에 있는 세계를 생각하기 어렵다. 우주를 상상하고 있는 인간은 3차원 공간을 생각하는 개미와 같은 입장이 아닐까. 그러나 인간은 광대한 우주를 바라보며 상상을 하고 ...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일어나기 쉽다.먹이의 성분은 꿀벌의 영양 측면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포유동물과 마찬가지로 꿀벌의 몸속 장에도 미생물이 산다. 일종의 공생이다. 이들 미생물에게는 장 속에 들어오는 영양 성분이 중요하다. 먹이의 다양성이 몸속 미생물의 조성까지도 바꾸는 셈이다. 베렌바움 교수는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