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안녕! 나는 금강앵무야. 열악한 환경에 놓인 동물들을 보면, 동물원을 다 없애고 모두 야생으로 돌려보내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돼. 그럼에도 좋은 동물원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 ... “동물원이 전시보다는 보전 노력에 힘써야 사람들도 동물원의 가치를 인정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런 철학을 담고자 노력했습니다.2021년은 인류에게 기념비적인 해가 될 것입니다. 2015년 말 채택돼 2016년부터 공식 발효된 파리협정이 규정하는 ‘신 기후체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해입니다. 파리협정은 지구 대기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시대에 비해 2°C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전세계가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무선인식태그(RFID)를 이용해 식별하는데, 이를 얼굴 인식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8년 미국 식량회사 카길은 아일랜드의 케인투스와 함께 젖소 농장에 얼굴 인식 기술을 도입해 단 몇 초 만에 개별 소를 식별할 수 있는 수학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알고리즘은 단순히 소를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포용적 국제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올해 5월 말에는 국내에서 제2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P4G· Partnern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를 개최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0, 9, 8, 7….’타이머가 0을 가리키자, 정적이 흘렀다. 방송에 출연한 진행자도 해설자도 말을 멈췄다. 하지만 깜깜한 밤하늘에 새로운 빛은 바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20여 초가 흘렀을 때 JAXA의 지상관제센터가 웅성거렸다. 화면 오른쪽에서 밝은 빛이 하나 나타났다. 빛은 왼편으로 쏜살같이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채찍이 꼭 체벌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엄격한 훈육과 그에 수반되는 체벌을 상징하는 말로 널리 쓰인다.그런데 체벌로 이뤄지는 훈육은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크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돼 있다. 미국 소아과학회는 2018년 ‘건강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효과적인 훈육’이라는 훈육지침의 ... ...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만드는 데 수학이 쓰이기 때문이에요.초등학생에게도 빅데이터라거나 인공지능이라는 말이 익숙한 시대가 됐습니다. 꼭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는 게 아니어도, 새로운 분야를 이해하고 미래 자신의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면 미래 인재로 성장할 가능성이 훨씬 커집니다. 수학은 이런 분야를 ... ...
- 에르되시 팔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500편이 넘는 논문을 쓸 수 있었다.나와 논문을 쓴 친구가 워낙 많아 ‘에르되시 수’라는 말도 생겼다. 나와 공동으로 연구한 수학자가 에르되시 수 1을 받았다면, 나와 연구한 적 없으면서 그와 함께 연구한 수학자는 에르되시 수 2를 받는 식이다. 이렇게 관계를 숫자로 표현하니 수학자들이 나와 몇 ... ...
- [에디스 퍼즐 마법학교] 진실의 책, 베루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모양이 붙은 문을 찾아서 열었는데 문이 아니라 책이었어. 진실의 책, 베루스 말이야! 책 속으로 한 걸음 들어가자 목소리가 들렸어. “진실의 책은 미션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적절한 반을 배정하죠. 마지막 미션입니다. 알파벳을 조합해 자신의 반을 확인하세요.”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였죠. 1964년 헝가리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토트가 밝혀내기 전까진 말이에요. 벌집이 육각형인 이유는 가장 적은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예요. 벌이 꿀과 먹이를 가득 채워 저장하기에 효율적이죠. 둘레가 서로 같을 때 넓이가 가장 큰 평면도형은 ‘원’이에요.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